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더져두고[외손별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그만두고.

더해지니[복션화음록 15 페이지 / 전적]

자연이 가중(加重)함이라. 자연이 더욱 소중한 사람이 된다. 남자의 뜻을 잘 받고 공순한 처신을 잘 하면 소주한 사람으로 여기게 된다는 말.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44 페이지 / 전적]

「德將無醉」-德으로 거느려 醉하는 일이 없다는 뜻임. 書經酒誥에 『越庶國飮惟祀 德將無醉』라 하였음.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25 페이지 / 전적]

「配德」-임금 德과 짝한다는 말임.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28 페이지 / 전적]

「頌德劉」― 晋劉伶이 지은 酒德頌을 말함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33 페이지 / 전적]

「有德能言」― 論語 憲問에 「有德者必有言」이라는 대문이 있음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90 페이지 / 전적]

「闕里」-땅 이름인데 中國山東省 曲阜縣城中에 있음。家語에 「孔子가 비로소 闕里에서 敎學하였다」라 했음。

덕급금수(德及禽獸)[조심가라 9 페이지 / 전적]

덕(德)이 금수(禽獸)에 미침.

덕급금수(德及禽獸)[조심가라 9 페이지 / 전적]

덕(德)이 금수(禽獸)에 미침.

덕기(德氣)[회혼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어질고 넉넉한 마음씨나 낯빛.

덕동도합(德同道合)[명륜가(明倫歌) 101 페이지 / 전적]

덕은 한가지로 하고 도는 서로 합치됨.

덕린(德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56 페이지 / 전적]

「德隣」-좋은 이웃을 말함. 論語里仁篇에「德不孤 必有隣」이란 대문이 있음

덕석[갑지녹이라 21 페이지 / 전적]

추울 때 소의 등을 덮어주거나 곡식을 말리는 멍석.

덕석[우미인가라 1 페이지 / 전적]

추울 때 소의 등을 덮어주거나 곡식을 말리는 멍석.

덕성(德性)[경장가(敬長歌) 7 페이지 / 전적]

어질고 너그러운 성질.

덕성(德性)[유례가(幼禮歌) 1 페이지 / 전적]

어질고 너그러운 성질.

덕수(德水)[송강집(松江集一)1 153 페이지 / 전적]

장유(張維)를 이름.

덕수궁(德壽宮)[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82 페이지 / 전적]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궁궐. 본래는 행궁(行宮)이었으나 선조 26년(1593)에 의주에서 환도한 후 보수하여 궁궐로 삼았음.

덕수궁(德壽宮)[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6 페이지 / 전적]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궁궐이다. 본래는 행궁(行宮)이었으나 선조 26년(1593)에 의주에서 환도한 후 보수하여 궁궐로 삼았다. 지금 남아 있는 건물은 중화전, 함녕전, 석조전 등이며 정문으로 대한문이 있다.

덕암(德巖)[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69 페이지 / 전적]

「德巖」―大同門밖에 있는데 우람하게 솟아나 능히 물을 막아주므로 府人이 德으로 여기어 이름한 것임. 史道詩에「巖起江流衝 城無江水厄 安士數千年 人以巖爲德」이라 하였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