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맹상군(孟嘗君)[헌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전국시대 제(齊)의 전문(田文)의 호(號). 제(齊)의 상(相)이 되어 천하의 현사(賢士)를 초치(招致). 식객(食客)이 수천인(數千人). 주소왕(奏昭王)이 죽이려 하였으나 식객(食客)중 구도계오(狗盜鷄嗚)하는 사람이 있어 면함.
맹상군(孟嘗君)[거창가 9 페이지 / 전적]
전국시대 제(齊)나라 전영(田嬰)의 아들. 이름은 문(文). 설(薛) 땅을 봉토로 받아 맹상군이 되었음.
맹상군(孟嘗君)[헌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전국시대 제(齊)의 전문(田文)의 호(號). 제(齊)의 상(相)이 되어 천하의 현사(賢士)를 초치(招致). 식객(食客)이 수천인(數千人). 주소왕(奏昭王)이 죽이려 하였으나 식객(食客)중 구도계오(狗盜鷄嗚)하는 사람이 있어 면함.
맹상군(孟嘗君)[거창가 9 페이지 / 전적]
전국시대 제(齊)나라 전영(田嬰)의 아들. 이름은 문(文). 설(薛) 땅을 봉토로 받아 맹상군이 되었음.
맹상군(孟嘗君)[유회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전국시대 때 제(齊)나라 재상(?~BC 278)으로 천하의 인재들을 모아 후하게 대접하였으며, 초(楚)나라의 춘신군(春申君), 조(趙)나라의 평원군(平原君), 위(魏)나라의 신릉군(信陵君)과 더불어 전국시대 사군(四君)으로 부른다.
맹상군(孟嘗君)[소상팔경가 25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 제나라의 재상으로 초나라의 춘신군, 조나라의 평원군, 위나라의 신릉군과 더불어 사군(四君)의 한 사람.
맹상군(孟嘗君)[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전국시대 제나라의 재상(?~B.C.278)으로 초나라의 춘신군, 조나라의 평원군, 위나라의 신릉군과 더불어 전국(戰國)말기 사군(四君)의 한 사람으로 부름.
맹상군(孟嘗君)[창덕가2 63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전국 시대 제(齊)나라의 정승이자 정치가인 전문(田文)을 말함.전문은 내객(來客)을 후하게 대접하여 천하의 유능한 선비 수천 명을 식객(食客)으로 두어 유명해짐.
맹상군(孟嘗君)[거창가라 15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 시대 제나라의 공족(公族)이며, 사군(四君)의 한 사람(?~B.C.278).재상(宰相)이 되었을 때 천하의 인재를 초빙하여 식객이 삼천 명에 이르렀다고 하며, 진(秦)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죽을 뻔하였으나 식객 중에 남의 물건을 잘 훔치는 사람과 닭의 울음소리를 잘 흉내 내는 사람이 있어 그들의 도움으로 죽음을 모면한 이야기로 유명하다.초나라의 춘신군, 조나라의 평원군, 위나라의 신릉군과 함께 전국(戰國) 말기 사군(四君)의 한 사람으로 불린
맹상군(孟嘗君)[아림가(娥林歌) 15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 시대 제나라의 공족(公族)이며, 사군(四君)의 한 사람(?~B. C. 278). 재상(宰相)이 되었을 때 천하의 인재를 초빙하여 식객이 삼천 명에 이르렀다고 하며, 진(秦)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죽을 뻔하였으나 식객 중에 남의 물건을 잘 훔치는 사람과 닭의 울음소리를 잘 흉내 내는 사람이 있어 그들의 도움으로 죽음을 모면한 이야기로 유명하다. 초나라의 춘신군, 조나라의 평원군, 위나라의 신릉군과 함께 전국(戰國) 말기 사군(四君)의 한 사람으
맹상군(孟嘗君)[창덕가2 64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전국 시대 제(齊)나라의 정승이자 정치가인 전문(田文)을 말함.전문은 내객(來客)을 후하게 대접하여 천하의 유능한 선비 수천 명을 식객(食客)으로 두어 유명해짐.
맹상군(孟甞君)[경화가(警和歌) 22 페이지 / 전적]
맹상군은 전국시대(戰國時代) 제(齊)나라의 정승으로, 친구를 좋아하여 식객이 늘 사천 명이나 되었다고 함.
맹상군(孟甞君)[경화가(警和歌) 22 페이지 / 전적]
맹상군은 전국시대(戰國時代) 제(齊)나라의 정승으로, 친구를 좋아하여 식객이 늘 사천 명이나 되었다고 함.
맹상군(孟賞君)[로인가 7 페이지 / 전적]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사람으로 제(齊)나라의 정승이었음. 성(姓)은 전(田), 명(名)은 문(文)임. 양객(養客)을 좋아하여 집에 늘 식객(食客)이 많았음.
맹상지례(孟嘗之禮)[창덕가2 9 페이지 / 전적]
전국시대 제나라의 정승인 맹상군(孟嘗君)은 친구를 좋아하여 식객이 늘 삼천명이나 되었다고 함.진(秦)나라 소왕이 맹상군을 시기하여 초청하여 가두고 죽이려하자, 왕의 애첩에게 여우가죽옷을 바치고 도망쳐 나와 함곡관에 이르렀지만 밤이 깊어 문이 닫혀 있는 데다가 소왕이 보낸 군졸이 뒤쫒아와 위급한 상황이 되자 식객 중 한 사람이 닭울음 소리를 내니 성 안의 닭들이 한꺼번에 울어 문지기는 날이 샌 줄 알고, 문을 열어서 무사히 빠져 나올 수 있었다는 고사에서
맹상지례(孟嘗之禮)[창덕가2 9 페이지 / 전적]
전국시대 제나라의 정승인 맹상군(孟嘗君)은 친구를 좋아하여 식객이 늘 삼천명이나 되었다고 함.진(秦)나라 소왕이 맹상군을 시기하여 초청하여 가두고 죽이려하자, 왕의 애첩에게 여우가죽옷을 바치고 도망쳐 나와 함곡관에 이르렀지만 밤이 깊어 문이 닫혀 있는 데다가 소왕이 보낸 군졸이 뒤쫒아와 위급한 상황이 되자 식객 중 한 사람이 닭울음 소리를 내니 성 안의 닭들이 한꺼번에 울어 문지기는 날이 샌 줄 알고, 문을 열어서 무사히 빠져 나올 수 있었다는 고사에서
맹생[남은곡 권지단이라 9 페이지 / 전적]
맹종(孟宗). 중국 삼국 시대 오(吳)나라 사람으로 성품이 지극히 효성스러웠음. 겨울에 늙으신 어머니께서 죽순을 먹고 싶어 하였지만 아직 죽순이 나오지 않아서 구할 수 없게 되자, 대숲에 들어가서 슬피 우니 땅 속에서 죽순이 솟아나 어머니께 가져다 드렸다고 한다.
맹안인(盲眼人)[권왕가 11 페이지 / 전적]
눈이 먼 장님.
맹자(孟子[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맹자와 그 제자들의 대화 따위를 기술한 것으로, <양혜왕(梁惠王)>, <공손추(公孫丑)>, <등문공(滕文公)>, <이루(離婁)>, <만장(萬章)>, <고자(告子)>, <진심(盡心)>의 7편으로 분류하였음. 14권 7책.
맹자(孟子[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맹자와 그 제자들의 대화 따위를 기술한 것으로, <양혜왕(梁惠王)>, <공손추(公孫丑)>, <등문공(滕文公)>, <이루(離婁)>, <만장(萬章)>, <고자(告子)>, <진심(盡心)>의 7편으로 분류하였음. 14권 7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