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맹광(孟光)[냥신낙사가(냥신낙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한나라 때 양홍(梁鴻)의 아내. 남편을 지극히 섬기었음. 거안제미(擧案齊眉)로 유명한데, 밥상을 높이 들어 눈썹과 가지런히 한다는 존경의 뜻을 나타냄. 맹광(孟光)이 남편 양백란(梁伯鸞, 梁鴻)의 인격을 존경하여 높인 이야기에서 온 말.

맹광(孟光)[냥신낙사가(냥신낙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한나라 때 양홍(梁鴻)의 아내. 남편을 지극히 섬기었음. 거안제미(擧案齊眉)로 유명한데, 밥상을 높이 들어 눈썹과 가지런히 한다는 존경의 뜻을 나타냄. 맹광(孟光)이 남편 양백란(梁伯鸞, 梁鴻)의 인격을 존경하여 높인 이야기에서 온 말.

맹광(孟光)[한별곡 15 페이지 / 전적]

양백란의 아내로 거안제미(擧案齊眉)라는 고사가 있는데 그 뜻은 밥상을 눈썹 높이로 들어 공손(恭遜)히 남편(男便) 앞에 가지고 간다는 뜻으로, 남편(男便)을 깍듯이 공경(恭敬)함을 일컫는 말.

맹귀우목(盲龜遇木)[자책가(가) 3 페이지 / 전적]

맹귀부목(盲龜浮木). 눈 먼 거북이 우연히 떠내려 오는 나무를 만났다는 뜻 으로 어렵던 차에 뜻밖의 행운을 얻음.

맹귀우목盲龜遇木[권왕가 47 페이지 / 전적]

맹귀부목(盲龜浮木). 눈먼 거북이 우연히 떠내려 오는 나무를 만났다는 뜻으로, 어렵던 차에 뜻밖의 행운을 얻음.

맹동(孟冬)[츅친서라 8 페이지 / 전적]

음력 시월즈음의 초겨울.

맹동(孟冬)[효행록이라(효록이라) 5 페이지 / 전적]

초겨울을 뜻하는 말이나 여기서는 왕상(王祥)이 초겨울에 죽순을 캐서 어머니를 봉양했다는 이야기에서 주인공의 이름이 잘못 전해진 듯하다.

맹동(孟冬)[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4 페이지 / 전적]

초겨울. 음력 10월을 달리 이르는 말.

맹동(萌動)[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6 페이지 / 전적]

싹이 트는 것.

맹동(萌動)[종매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싹이 틈.

맹동(萌動)[냥신낙사가(냥신낙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싹이 남.

맹동(萌動)[냥신낙사가(냥신낙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싹이 남.

맹동(萌動)[별교사(별교) 2 페이지 / 두루마리]

싹이나 움, 순(筍)이 새로 남.

맹동(萌動)[기수가 3 페이지 / 전적]

싹이 남.

맹랑(孟浪)[과부가(寡婦歌) 3 페이지 / 전적]

이치에 맞지 않고 허망함.

맹랑(孟浪)[한양가라 38 페이지 / 전적]

생각하던 바와 달리 허망하다.

맹랑(孟浪)하다[셔유곡 5 페이지 / 전적]

보기에 처리하기가 매우 어렵고 묘한 데가 있다.

맹렬(猛烈)[한양가라 53 페이지 / 전적]

기세가 몹시 사납고 세차다.

맹로(孟魯)[석천집(石川集二-三)2-3 124 페이지 / 전적]

노(魯)나라 보도(寶刀)의 이름.

맹모(孟母)[녁대가(녁가) 38 페이지 / 전적]

맹자의 어머니. 아들의 교육을 위해 세 번이나 이사하였다는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가 유명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