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맹종(孟宗)[나부가라(라부가라) 12 페이지 / 전적]
중국 삼국시대 오나라 사람. 효자로서 이름이 높았으며, 겨울에 그의 어머니가 즐기는 죽순이 없음을 슬퍼하자 홀연히 눈 속에서 죽순이 나왔다고 함.
맹종(孟宗)[오륜가 2 페이지 / 전적]
중국 삼국시대 오나라 사람. 효자로서 이름이 높았으며, 겨울에 그의 어머니가 즐기는 죽순이 없음을 슬퍼하자 홀연히 눈 속에서 죽순이 나왔다고 함.
맹종(孟宗)[헌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의 이름난 효자로 어머니가 추운 겨울에 죽순을 먹고 싶다고 하자, 대나무밭에 나가 하늘을 우러러 울면서 탄식하자 갑자기 죽순이 튀어나왔다고 함.
맹종(孟宗)[낙수가 4 페이지 / 전적]
중국 삼국시대 오나라 사람으로 효자로 이름이 높았으며, 겨울에 그의 어머니가 즐기는 죽순이 없음을 슬퍼하자 홀연히 눈 속에서 죽순이 나왔다고 함.
맹종(孟宗)[오륜가라 7 페이지 / 전적]
중국 삼국 시대 오나라 사람(?~?). 자는 공무(恭武). 효자로서 이름이 높았으며, 겨울에 그의 어머니가 즐기는 죽순이 없음을 슬퍼하자 홀연히 눈 속에서 죽순이 나왔다고 한다.
맹종(孟宗)[가사소리 7 페이지 / 전적]
중국 삼국 시대 오나라 사람(?~?). 자는 공무(恭武). 효자로서 이름이 높았으며, 겨울에 그의 어머니가 즐기는 죽순이 없음을 슬퍼하자 홀연히 눈 속에서 죽순이 나왔다고 한다.
맹종(孟宗)[오륜가라 5 페이지 / 전적]
중국 삼국 시대 오나라 사람. 자는 공무(恭武). 효자로서 이름이 높았으며, 겨울에 그의 어머니가 즐기는 죽순이 없음을 슬퍼하자 홀연히 눈 속에서 죽순이 나왔다고 함.
맹종(孟宗)[오륜가라 5 페이지 / 전적]
중국 삼국 시대 오나라 사람. 자는 공무(恭武). 효자로서 이름이 높았으며, 겨울에 그의 어머니가 즐기는 죽순이 없음을 슬퍼하자 홀연히 눈 속에서 죽순이 나왔다고 함.
맹종(孟宗)의 곡죽생순(哭竹生筍) 고사[효성가라 4 페이지 / 전적]
맹종은 오(吳)나라 사람으로 홀어머니가 병이 들어 위독하게 되자 평소 모친이 좋아하던 죽순을 구하려 했으나, 추운 겨울이라 이를 구하지 못해 대나무를 잡고 통곡하므로, 하늘이 그 효성에 감동하여 대나무를 쪼개어 죽순을 얻게 해 주었다는 고사임.
맹종읍죽(孟宗泣筍)[충효가 7 페이지 / 전적]
맹종(孟宗)은 중국 오(吳)나라 사람. 어머니가 늙고 병이 위독한데, 겨울철이 되어 갈 때에 죽순을 먹기를 원하였으나 이때는 땅이 얼어서 죽순이 없으므로, 맹종이 대숲에 들어가서 슬피 우니, 이윽고 땅 위로 죽순 두어 줄기가 나왔다는 고사.『삼강행실도』(효자도).
맹진부(孟津賦)[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1 페이지 / 전적]
「孟津賦」- 孟津은 中國에 있는 물의 이름인데, 周武王이 紂를치기 위하여 군사를 모아 誓師한 곳임.書經 泰誓에 「惟十有三年春 大會于孟津」이라 하였음.賦의 글제가 孟津이므로 당시의 사실을 종합하여 지은 것임
맹추(孟秋)[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8 페이지 / 전적]
초가을. 음력 7월을 달리 이르는 말.
맹춘(孟春)[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 페이지 / 전적]
초봄. 음력 정월을 달리 이르는 말.
맹춘(孟春)[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5 페이지 / 전적]
음력 정월을 이르는 말로 초봄을 뜻한다.
맹춘(孟春)[제주여행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음력 정월'을 달리 일컫는 말.초기의 봄.
맹춘절(孟春節)[칠녀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이른 봄.
맹하(孟夏)[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0 페이지 / 전적]
초여름. 음력 4월을 달이 이르는 말.
맹호(孟浩)[석천집(石川集二-三)2-3 48 페이지 / 전적]
(唐)나라 때 시인. 이름은 호(浩), 자는 호연(浩然). 오언시(五言詩)를 잘했으며, 왕유(王維)와 더불어 자연시인으로 유명함.
맹호연(孟浩然)[초당춘수곡 9 페이지 / 전적]
당나라의 자연시인. 평생 벼슬을 하지 않고 봄이 되면 나귀를 타고 매화를 찾으러 설산(雪山)에 들어갔다고 함.
맹호연(孟浩然)[원유가 4 페이지 / 전적]
자(字)도 호연(浩然). 일일간진 낙양화(一日看盡 洛陽花) - 온종일 낙양화(모란꽃)를 감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