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무왕불복(無徃不復)[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10 페이지 / 전적]

가고서 돌아오지 않음이 없다.

무왕불복(無徃不復)[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2 페이지 / 전적]

가고서 돌아오지 않음이 없다.

무왕지덕(武王之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1 페이지 / 전적]

무왕의 덕. 무왕은 기원전 1046년 서쪽 제후들을 규합하여 은(殷)나라를 멸망시키고 주(周)나라를 건국하였음.

무왕지덕(武王之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1 페이지 / 전적]

무왕의 덕. 무왕은 기원전 1046년 서쪽 제후들을 규합하여 은(殷)나라를 멸망시키고 주(周)나라를 건국하였음.

무왕후비(武王后妃)[계녀사라 7 페이지 / 전적]

주(周) 무왕의 비.

무용(無用)[허후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쓸모가 없음.

무용지물(無用之物)[사향곡(향곡) 11 페이지 / 전적]

쓸모없는 물건이나 사람.

무우[팔역가(八域歌) 5 페이지 / 전적]

논어에 나오는 말로 무귀영, 곧 자연에서 풍류를 즐기는 것

무우(舞雩)[퇴계선생등루가(退溪先生登樓歌) 2 페이지 / 전적]

기우제(祈雨祭)를 지낼 때 춤추는 곳. 또는 비 오기를 비는 제단.

무우(舞雩)[송강집(松江集三)3 27 페이지 / 전적]

흉차(胷次)가 천지 만물과 동화(同化)됨을 이름. 論語 先進篇에「浴乎沂風乎舞雩詠而歸」

무우(舞雩)[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90 페이지 / 전적]

「舞雩」- 비를 비는 祭壇임. 論語에 「風乎舞雩 詠而歸」라 하였음.

무우(舞雩)[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1 페이지 / 전적]

「舞雩」- 論語註에「하늘에 祭를 올려 비를 비는 곳인데 壇墠과 樹木이 있다」라 하였음.

무우(舞雩)[냥신낙사가(냥신낙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무우대(無雩臺)를 가리킴. 옛날 기우제를 지내던 곳. 논어(論語)』「선진(先進)」 편에 나오는 풍호무우(風乎舞雩)라는 구절이 나옴. 공자(孔子)가 그의 제자들에게 각자 하고 싶은 바를 묻자, 증점(曾點)이 ‘늦봄에 봄옷을 다 갖추어 입고 관을 쓴 사람 5~6인과 동자들 6~7인을 데리고, 기수(沂水)에서 목욕하고 무우(舞雩)에서 바람을 쏘인 다음 읊조리면서 돌아오겠습니다(暮春者 春服旣成 冠者五六人 童子六七人 浴乎沂 風乎舞雩 詠而歸)’라고 대답한 데에서

무우(舞雩)[냥신낙사가(냥신낙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무우대(無雩臺)를 가리킴. 옛날 기우제를 지내던 곳. 논어(論語)』「선진(先進)」 편에 나오는 풍호무우(風乎舞雩)라는 구절이 나옴. 공자(孔子)가 그의 제자들에게 각자 하고 싶은 바를 묻자, 증점(曾點)이 ‘늦봄에 봄옷을 다 갖추어 입고 관을 쓴 사람 5~6인과 동자들 6~7인을 데리고, 기수(沂水)에서 목욕하고 무우(舞雩)에서 바람을 쏘인 다음 읊조리면서 돌아오겠습니다(暮春者 春服旣成 冠者五六人 童子六七人 浴乎沂 風乎舞雩 詠而歸)’라고 대답한 데에서

무우산(無憂散)[권왕가 23 페이지 / 전적]

근심 걱정을 없애주는 가루약.

무운(無雲)[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구름없는 하늘.

무운(無雲)[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구름없는 하늘.

무운(霧雲)갓치[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4 페이지 / 전적]

무운(霧雲)같이. 안개나 구름같이.

무운장구(武運長久)[자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전쟁에서 이기고 지는 운수가 매우 길로 오램.

무월동방(無月洞房)[상사금실가 3 페이지 / 전적]

동방(洞房)은 동방화촉(洞房華燭). 달 없는 밤에 신혼부부의 방에 밝혀진 불.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