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무월동방(無月洞房)[상사금실가 3 페이지 / 전적]

동방(洞房)은 동방화촉(洞房華燭). 달 없는 밤에 신혼부부의 방에 밝혀진 불.

무위 진락(無爲眞樂)[권왕가 63 페이지 / 전적]

무위의 참된 즐거움. 무위(無爲) : 인연을 따라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생멸 변화(生滅變化)를 떠난 것. 상주 절대(常住絶對)의 진실.

무위이화(無爲而化)[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91 페이지 / 전적]

힘들이지 않아도 저절로 변하여 잘 이루어짐.

무위이화(無爲而化)[경화가(警和歌) 53 페이지 / 전적]

함이 없이 저절로 되는 것.

무위이화(無爲而化)[경화가(警和歌) 54 페이지 / 전적]

함이 없이 저절로 되는 것

무위이화(無爲而化)[직금가라 4 페이지 / 전적]

애써 하지 않아도 잘 됨.

무위이화(無爲而化)[교훈가 7 페이지 / 전적]

애써 공들이지 않아도 스스로 변화하여 잘 이루어짐.

무위이화(無爲而化)[도슈샤 7 페이지 / 전적]

애써 공들이지 않아도 스스로 변화하여 잘 이루어짐.

무위이화(無爲而化)[흥비가 5 페이지 / 전적]

애써 공들이지 않아도 스스로 변화하여 잘 이루어짐.

무위이화(無爲而化)[창덕가2 67 페이지 / 전적]

아무것도 하지 않음으로써 교화한다는 뜻으로, 억지로 꾸밈이 없어야 백성들이 진심으로 따르게 된다는 말.

무위이화(無爲而化)[창덕가2 68 페이지 / 전적]

아무것도 하지 않음으로써 교화한다는 뜻으로, 억지로 꾸밈이 없어야 백성들이 진심으로 따르게 된다는 말.

무위이화(無爲而化)[흥비가 7 페이지 / 전적]

재주와 꾀를 행하지 않는 데도 자연스럽게 변화, 교화되는 것.

무위이화(無爲而化)[역대삼재가라 14 페이지 / 전적]

재주와 꾀를 행하지 않는 데도 자연스럽게 변화, 교화되는 것.

무위자성(無爲自性)[나웅하상토굴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불교용어로 무위는 인연을 따라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생멸(生滅)의 변화를 떠난 것을 말한다. 자성은 모든 법이 갖추고 있는 변하지 않는 본성(本性)을 말한다.

무육(撫育)[오륜가라 18 페이지 / 전적]

어루만지듯이 잘 돌보아 기름.

무육(撫育)[오륜가라 18 페이지 / 전적]

어루만지듯이 잘 돌보아 기름.

무을(武乙)[역대가라(역가라) 6 페이지 / 전적]

은(殷) 나라 제 25대 왕이다. 무을이 덕이 없어 허수아비를 만들어 천신(天神)이라 하고 그와 도박을 하고, 착한 사람들에게 그런 짓을 하게 했다. 나중에 하위(河渭)에서 사냥하다 벼락을 맞아 죽었다.

무읍충서(無悒忠舒)[제면암최선생익현동업기비봉 3 페이지 / 전적]

마음 언짢음 없이 곧게 펼치는 것.

무의(無依)[초씨션원쳥음가 15 페이지 / 전적]

의지할 것이 없음.

무의공(武毅公)[칠여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임진왜란때 큰 무공(武功)을 세워 선무훈(宣武勳) 일등공신에 훈록(勳錄)된 박의장(朴毅長)의 시호(諡號). 조선 중기의 무신인 박의장(朴毅長)은 임진왜란 때 경주부윤(慶州府尹)으로서 경주 탈환 작전에서 적군을 크게 무찌르는 공을 세움. 그 전공으로 경상좌도 병마절도사에 승진. 사후 호조판서가 추증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