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무이향산(無二鄕山)[당산조션가 4 페이지 / 전적]

오직 하나뿐인 고향 산천.

무이화(無已化)[명륜가(明倫歌) 92 페이지 / 전적]

교화에 그침이 없음.

무익(無益)[자책가(가) 4 페이지 / 전적]

이로울 것이 없음.

무익(無益)[몽별가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이익이 없음. 이로울 것이 없음.

무익(無益)[몽별가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이익이 없음. 이로울 것이 없음.

무인[소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물린’의 뜻으로 생각된다.

무인적(無人跡)[자치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의 흔적이 없음.

무인지경(無人之境)[이화가젼 8 페이지 / 전적]

사람이 살고 있지 않는 외진 곳.

무인지경(無人之境)[이화가젼 8 페이지 / 전적]

사람이 살고 있지 않는 외진 곳.

무인지경(無人之境)[교훈가 9 페이지 / 전적]

사람다운 사람이 없는 곳.

무일을 경계[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61 페이지 / 전적]

무일(無逸)은 안일하게 지내지 말라는 말로서 주공이 나이 어린 조카 성왕을 경계한 글의 이름.《書經 無逸》

무일편[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43 페이지 / 전적]

「서경(書經)」주서(周書)의 편명으로 주공(周公)이 이 글을 지어 조카 성왕(成王) 을 일깨웠다. 여기서는 벼루를 훌륭한 인재에 견주어 갈고 닦은 덕을 가지고 왕에게 좋은 보필을 했다는 뜻이다

무일편(無逸篇)[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서경(書經)』무일편을 말한다.

무일편(無逸篇)[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서경(書經)』무일편을 말한다.

무자(巫子)[청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무당(巫堂). 귀신을 섬겨 길흉을 점치고 굿을 하는 여자.

무자(無子)[종매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아들이 없음.

무자(無子)[김씨효행가 40 페이지 / 두루마리]

대를 이을 아들이 없음. 무자식.

무자(無子)[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0 페이지 / 전적]

대를 이을 자식이 없음.

무자(無子)[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2 페이지 / 전적]

대를 이을 아들이 없음.

무자년(戊子年)[한흥가라 19 페이지 / 전적]

태종 8년(1408).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