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무진(無盡)[망부가 21 페이지 / 전적]

다함이 없을 만큼 매우.

무진년[육십회갑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1928년.

무진년[팔역가(八域歌) 25 페이지 / 전적]

668년

무진원월(戊辰元月)[춘화추동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무진년 정월. 대략 1928년을 말한다고 보임.

무진원월(戊辰元月)[춘화추동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무진년 정월.ㅡ 대략 1928년을 말한다고 보임.

무진장(無盡藏)[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9 페이지 / 전적]

「無盡藏」―佛家語임.大乘義章에「德廣難窮 名爲無盡 無盡之德 包含曰藏」이라 하였음.

무진장한[석천집(石川集二-二)2-2 55 페이지 / 전적]

천지 사이에 있는 물건들은 각기 주인이 있으니, 만약 나의 것이 아니면 비록 터럭 하나라도 취하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강 위의 맑은 바람과 산속의 밝은 달은 (누구든지) 귀로 들으면 (자기의) 소리가 되고, 눈으로 보면 (자기의) 빛을 이룬다. 그것(소리와 빛)을 가져가도 (아무도) 막지 않고, 그것을 써도 다 없어지지 않으니, 이것은 조물주가 끝없이 간직한 것이며, 나와 그대가 함께 즐기는 것이다. -소동파 <적벽부(赤壁賦)>

무착령(無着嶺)[나웅하상토굴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집착이 없는 경지를 고개마루에 비유한 말.

무창(武昌)[석촌별곡 12 페이지 / 전적]

<전적벽부>에 나오는 지명.

무창(武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0 페이지 / 전적]

「武昌魚」-中國 武昌에서 나는 魚를 말함. 三國志陸凱傳에『童謠에 이르기를 「寧飮建業水 不食武昌魚」라 했다』하였음.

무창산(武昌山)[석천집(石川集二-四)2-4 99 페이지 / 전적]

中國 湖北城 鄂城縣에 있는 山.

무책(無策)[벌교사(벌교) 6 페이지 / 전적]

방법이나 꾀가 없음.

무첨(無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60 페이지 / 전적]

「無忝」― 忝은 辱의 뜻임. 詩經 小雅 小宛에 「夙興夜寐 無忝爾所生」이란 句가 있음. 선생의 이 詩는 張橫渠의 東銘의 「不愧屋漏 爲無忝」이란 뜻을 취한 것임.

무춤무춤[후원초당 봄이듯이 2 페이지 / 두루마리]

놀라거나 어색한 느낌이 들어 하던 짓을 갑자기 자꾸 멈추는 모양.

무충(無蟲)[자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털이 없는 벌레. ‘무모충(無毛蟲)’을 줄인 말.

무충(無蟲)[소상팔경가 3 페이지 / 전적]

털이 없는 벌레.'무모충(無毛蟲)'을 줄인 말.

무충(無蟲)[자치가 2 페이지 / 전적]

털이 없는 벌레.'무모충(無毛蟲)'을 줄인 말.

무태(武泰)[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3 페이지 / 전적]

통일 신라 말기에, 고구려의 부흥을 표방하며 후고구려를 세운 궁예가 송악으로 천도한 뒤 국호를 마진(摩震)으로 바꾸면서 사용한 연호(904~905)이다.

무태(毋怠)[광애가(廣愛歌) 5 페이지 / 전적]

게을리하지 아니함.

무태장어[제주여행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뱀장어과의 장어.몸의 길이는 1.5미터 정도이며, 누런 갈색 바탕에 작은 얼룩무늬가 흩어져 있으며 지방이 많다.천연기념물 제258호.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