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문수보현(文殊普賢)[초암가 2 페이지 / 전적]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문수와 보현은 석가모니여래의 좌우에 위치해 제불(諸佛)의 지혜와 불교의 진리, 수행의 덕을 맡고 있는 보살로, 함께 삼존불을 이룸.
문숙(文叔)[자치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후한 광무제 유수(劉秀)를 말함.
문숙(文叔)[잣치가라(치라) 11 페이지 / 전적]
후한 광무제 유수(劉秀)를 말함.
문숙(文叔)[자치가 12 페이지 / 전적]
후한 광무제 유수(劉秀)를 말함.
문신(文身)[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27 페이지 / 전적]
몸에 文을 그린 것을 이름. (左傳哀公七年) 「斷髮文身」의 대문이 있는데 옛날 南蠻의 俗이 이와 같았음. 至德은 論語泰伯에 「泰伯其可謂至德也己矣」라 하였음.
문신괴원(文臣魁元)[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18 페이지 / 전적]
문신 중에 우두머리.
문안(問安)[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1 페이지 / 전적]
웃어른께 안부를 여쭘.
문안(問安)[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웃어른에게 안부를 여쭘.
문안납배(問安納拜)[그리져리구경하고 5 페이지 / 전적]
문안인사하며 절을 올림.
문앞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0 페이지 / 전적]
「衡門」―橫木으로 만든 淺陋한 門을 말함. 詩經 陳風 衡門에 「衡門之下 可以捿遲」의 글구가 있음.
문약(問藥)[명륜가(明倫歌) 16 페이지 / 전적]
약을 물음.
문약(問藥)[오윤가 8 페이지 / 전적]
약을 처방함.
문어걸인(問於乞人)[막소가(莫笑歌) 9 페이지 / 전적]
걸인(乞人)에게 물음.여기에서 걸인(乞人)이란 막소가가 수록된 가사집의 서문(序文)에서 등장하는 선생님을 뜻하는 듯하다.
문어천신(問於天神)[막소가(莫笑歌) 9 페이지 / 전적]
천신(하늘의 신)에게 물음.
문언박(文彦博)[오륜가라 29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 때의 재상(宰相)(1006~1097). 자는 관부(寬夫). 장군과 재상을 지내면서 나라에 충성을 다하여 이름을 떨침. 저서에 ≪노공집(潞公集)≫이 있음
문언박(文彦博)[선악구설 이라(션악 구셜이라) 1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 때의 재상(宰相)(1006~1097). 자는 관부(寬夫). 장군과 재상을 지내면서 나라에 충성을 다하여 이름을 떨침. 저서에 ≪노공집(潞公集)≫이 있음
문언박(文彦博)[오륜가라 29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 때의 재상(宰相)(1006~1097). 자는 관부(寬夫). 장군과 재상을 지내면서 나라에 충성을 다하여 이름을 떨침. 저서에 ≪노공집(潞公集)≫이 있음
문언박(文彦博)[선악구설 이라(션악 구셜이라) 1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 때의 재상(宰相)(1006~1097). 자는 관부(寬夫). 장군과 재상을 지내면서 나라에 충성을 다하여 이름을 떨침. 저서에 ≪노공집(潞公集)≫이 있음
문여가(文與可)[석천집(石川集二-四)2-4 93 페이지 / 전적]
中國 北宋代의 文人畵家 文同의 字. 文同은 竹畵로 유명하였음.
문여가(文與可)[석천집(石川集二-四)2-4 113 페이지 / 전적]
中國 北宋代의 畵家 文同. 대나무 그림을 잘 그렸음. 蘇軾,<文與可畵篔簹谷偃竹記>:『畵竹者必先得成竹於胸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