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문선왕(文宣王)[퇴계선생등루가(退溪先生登樓歌) 1 페이지 / 전적]

중국 당(唐)나라의 현종(玄宗) 때에 드린 공자(孔子)의 시호

문선왕(文宣王)[궁장가(宮墻歌) 5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시호(諡號)로 중국 당나라 현종이 내렸다.

문선왕(文宣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0 페이지 / 전적]

「文宣王」-孔子를 말함.

문선왕(文宣王)[메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당(唐)나라 현종(顯宗)이 내린 공자(孔子)의 시호(諡號)

문선왕(文宣王)[메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당(唐)나라 현종(顯宗)이 내린 공자(孔子)의 시호(諡號)

문성(文成=栗谷)[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9 페이지 / 전적]

四七 - 四端七情의 약칭임

문성왕(文聖王)[쳥츈상심곡(쳥츈심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주나라 기초를 닦은 명군.

문성장군(文成將軍)[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89 페이지 / 전적]

文成將軍」―漢의 武帝가 方士 李少翁을 文成將軍으로 삼았음.여기는 글제가 筆戰이요, 붓이 文을 이루어주는 것이기 때문에 옛날 장군의 名號를 借用한 것임.

문속관풍(問俗觀風)[축산별곡 5 페이지 / 전적]

산에 올라 노닐다.

문수(問數)[시절가 22 페이지 / 전적]

문복(問卜)(점쟁이에게 길흉(吉凶)을 물음).

문수(文殊)[리행소챙가 24 페이지 / 전적]

문수보살의 준말.

문수(文殊) 보현(普賢) 대보살(大菩薩)[자책가(가) 20 페이지 / 전적]

문수보살(文殊菩薩). 제불(諸佛)의 지혜를 맡은 보살. 석가여래의 왼쪽에 협시(脇 侍)하여 오른쪽에 협시한 보현보살과 더불어 삼존불(三尊佛)을 이름.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준말. 불교의 진리와 수행의 덕을 맡아보며, 지혜의 문수보살 (文殊菩薩)과 함께 석가를 협시함. 지덕(智德)이 뛰어난 보살(菩薩)

문수(汶水)[사친가1(思親歌(一)) 7 페이지 / 전적]

중국 산동성(山東省)에 있는 강의 이름.

문수(汶水)[권션지로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의 태산에서 흐르는 물.

문수(汶水)[붕우츠회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산동성에 있는 강이름.

문수(汶水)[도덕구가 1 페이지 / 전적]

중국 산동성에 있는 강이름.

문수(汶水)[영산초장이라 4 페이지 / 전적]

태산(泰山)에서 흘러내리는 물.

문수(汶水)[도덕가라 2 페이지 / 전적]

태산(泰山)에서 흘러내리는 물.

문수(汶水)[용담가라 1 페이지 / 전적]

반월성 앞을 흐르는 개천 이름.

문수보현(文殊普賢)[정토발원문(淨土發願文) 21 페이지 / 전적]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문수와 보현은 석가모니여래의 좌우에 위치해 제불(諸佛)의 지혜와 불교의 진리, 수행의 덕을 맡고 있는 보살로, 함께 삼존불을 이룸.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