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문필봉(文筆峰)[옥설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문필봉은 전국적으로 발견되는 지명으로 문필봉은 산의 모양이 붓끝처럼 뾰족할 때 주로 불리는 지명.
문하(門下)[ 1 페이지 / ]
학문의 가르침을 받는 스승의 아래.
문하(門下)[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0 페이지 / 전적]
학문의 가르침을 받는 스승의 아래.
문하성(門下省)[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8 페이지 / 전적]
고려시대에, 중앙 의정 기관의 하나인 내사문하성을 이르던 말로 왕명의 출납과 중신(重臣)의 탄핵을 맡아보았으며 으뜸 벼슬은 시중이었다.
문하시중(門下侍中)[한흥가라 11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의 종일품 으뜸 벼슬
문하시중(門下侍中)[한흥가라 11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의 종일품 으뜸 벼슬
문하시중(門下侍中)[한흥가라 11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의 종일품 으뜸 벼슬
문하시중(門下侍中)[한양가라 9 페이지 / 전적]
조선 전기 때 정일품 벼슬.
문하시중(門下侍中)[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0 페이지 / 전적]
고려시대에, 중서문하성의 종일품 으뜸 벼슬. 성종 1년(982)에 처음으로 두고 문종 때 정원 및 품계를 정하였으며, 충렬왕 1년(1275)에 첨의중찬으로 고쳤다.
문학(文學)[자경별곡 17 페이지 / 전적]
지난날, 학예(學藝),경사(經史),시문(詩文)을 총칭하던 말. 또는 문자로 기록된 모든 것을 포괄적으로 이르던 말.
문학(文學)[권학가 2 페이지 / 전적]
지난날, 학예(學藝),경사(經史),시문(詩文)을 총칭하던 말. 또는 문자로 기록된 모든 것을 포괄적으로 이르던 말.
문한(文翰)[조선충효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글을 잘짓는 사람.
문호(文豪)[갑지녹이라 6 페이지 / 전적]
뛰어난 문장가.
문호(文豪)[칠여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뛰어난 문학(文學) 작품(作品)을 많이 써서 알려진 사람, 매우 뛰어난 큰 작가(作家)
문호(門戶)[오윤가 23 페이지 / 전적]
집안과 같은 뜻.
문호(門戶)[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5 페이지 / 전적]
①집으로 드나드는 문 ②문벌(門閥), 외부(外部)와 연락(連絡)하는 문.
문호(門戶)[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5 페이지 / 전적]
①집으로 드나드는 문 ②문벌(門閥), 외부(外部)와 연락(連絡)하는 문.
문호(門戶)[사향곡(향곡) 13 페이지 / 전적]
문벌(門閥).대대로 내려오는 그 집안의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
문호(門戶)[답사향곡(답향곡) 2 페이지 / 전적]
문벌(門閥).대대로 내려오는 그 집안의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
문호(門戶)[경노의심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대대로 이어 내려오는 가문의 지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