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문전걸식(門前乞食)[추월감 1 페이지 / 두루마리]
이 집 저 집 돌아다니며 빌어먹음.
문전걸식(門前乞食)[시절가 10 페이지 / 전적]
이 집 저 집 돌아다니며 빌어 먹음.
문전걸식(門前乞食)[막소가(莫笑歌) 10 페이지 / 전적]
이 집 저 집 돌아다니며 빌어먹음.
문전광야(門前廣野)[사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대문 앞 너른 들에
문정[팔역가(八域歌) 31 페이지 / 전적]
문정왕후, 곧 중종의 왕비
문정(問情)[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4 페이지 / 전적]
조선 후기에 외국의 배가 처음으로 항구에 들어왔을 때나 외국인이 표류하여 왔을 때 관리를 보내어 그 사정을 알아보던 일.
문정(門庭)[숙덕부인도덕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대문이나 중문 안에 있는 뜰.
문정왕후(文定王后)[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8 페이지 / 전적]
조선 중종의 계비(繼妃)(1501~1565). 성은 윤(尹). 중종 12년(1517)에 왕비에 책봉되었으며, 아들 명종이 12세 때 왕위에 오르자 대신 정치를 맡아 권력을 잡았으며 동생 윤원형과 함께 을사사화를 일으켰다. 승려 보우를 가까이하여 불교의 부흥을 꾀하였다.
문정왕후(文定王后)[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9 페이지 / 전적]
조선 중종의 계비(繼妃)(1501~1565). 성은 윤(尹). 중종 12년(1517)에 왕비에 책봉되었으며, 아들 명종이 12세 때 왕위에 오르자 대신 정치를 맡아 권력을 잡았으며 동생 윤원형과 함께 을사사화를 일으켰다. 승려 보우를 가까이하여 불교의 부흥을 꾀하였다.
문제(文帝 BC.202~BC.157)[명륜가(明倫歌) 31 페이지 / 전적]
전한(前漢) 5대 황제. 농업을 장려하고 제왕의 세력 분산을 꾀하는 등 왕조의 기틀을 굳히는 데 힘썼음.
문젼욱답 슈한젼답[효봉구고치산가 23 페이지 / 전적]
문전옥답(門前沃畓) 숱한 전답(田畓).
문졍[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9 페이지 / 전적]
문정(問情). 묻는 정과 마음.
문졍면[소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물정(勿正)하면. ‘바르지 않으면’의 뜻인 듯하다.
문조(文藻)[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9 페이지 / 전적]
「文藻故宅」- 文藻는 辭章의 아름다움을 말함, 杜甫의 詠懷古跡詩에 『江山古宅空文藻』가 있음。
문조대왕(文祖大王)[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1 페이지 / 전적]
익종(翼宗)과 같음.
문조루[팔역가(八域歌) 20 페이지 / 전적]
문소루
문종(文宗)[한양가라 22 페이지 / 전적]
조선 제5대 왕(1414~1452). 세종의 맏아들로 20년 간 세자로 지냈으며, 민의를 잘 파악하고 인재를 잘 등용하였으나 몸이 약해서 적극적으로 정치를 하지 못하였다.
문종(文宗)[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4 페이지 / 전적]
조선 제5대 왕(1414~1452)으로 이름은 향(珦), 자는 휘지(輝之)이다. 세종의 아들로 20년간 세종을 도와 일하였으며 민의를 잘 파악하고 인재를 잘 등용하였으나 몸이 약해서 적극적으로 정치를 하지 못하였다. 재위 기간은 1450~1452년이다.
문종대왕(文宗大王)[한흥가라 24 페이지 / 전적]
조선 제5대 왕(1414~1452). 이름은 향(珦). 자는 휘지(輝之). 세종의 아들로 20년간 세종을 도와 일하였으며 민의를 잘 파악하고 인재를 잘 등용하였으나 몸이 약해서 적극적으로 정치를 하지 못하였다. 재위 기간은 1450~1452년이다.
문종대왕(文宗大王)[한흥가라 24 페이지 / 전적]
조선 제5대 왕(1414~1452). 이름은 향(珦). 자는 휘지(輝之). 세종의 아들로 20년간 세종을 도와 일하였으며 민의를 잘 파악하고 인재를 잘 등용하였으나 몸이 약해서 적극적으로 정치를 하지 못하였다. 재위 기간은 1450~1452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