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물심양면(物心兩面)[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69 페이지 / 전적]

물질적인 것과 정신적인 것의 두 방면.

물안죄송[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2 페이지 / 전적]

무한 죄송. 무한한 죄송함.

물알[입추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아직 덜 여물어서 물기가 많고 말랑한 곡식알.

물애기[자탄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젖먹이’를 잘못 쓴 표현.

물약[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202 페이지 / 전적]

병이 완치됨을 말함.《周易 无妄卦》에 ‘구오는 잘못이 없는 병이니 약을 쓰지 않아도 나을 것이다.〔九五 无妄之疾 勿藥有喜〕‘하였음.

물약자효(勿藥自效)[명륜가(明倫歌) 27 페이지 / 전적]

약을 쓰지 아니하여도 병이 저절로 나음.

물약자효(勿藥自效)[권학가 8 페이지 / 전적]

약을 쓰지 않고 저절로 효험을 봄.

물약자효(勿藥自效)[도덕가 5 페이지 / 전적]

약을 쓰지 않고 저절로 효험을 봄.

물약자효(勿藥自效)[흥비가 1 페이지 / 전적]

약을 쓰지 않고 저절로 효험을 봄.

물약자효(勿藥自效)[창덕가2 75 페이지 / 전적]

약을 쓰지 않았는데 저절로 나음.

물약자효(勿藥自效)[창덕가2 76 페이지 / 전적]

약을 쓰지 않았는데 저절로 나음.

물역(勿逆)[자직가(子職歌) 6 페이지 / 전적]

거스르지 아니함.

물역(勿逆)[경명가(敬命歌) 2 페이지 / 전적]

거스르지 아니함.

물오동포(物吾同胞)[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9 페이지 / 전적]

만물은 천지의 입장에서 보면 모두 같은 동포이다. 北宋시대 철학자 張橫渠가 지은

물외사(物外事)[이회심곡(二回心曲) 3 페이지 / 전적]

구체적인 현실 세계의 바깥 세상일.

물외인(物外人)[자책가(가) 3 페이지 / 전적]

번잡한 세상 물정을 벗어나 지내는 사람.

물외협경(物外狹徑)[사친가1(思親歌(一)) 7 페이지 / 전적]

세상 밖의 좁은 길. 이곳 표제의 ‘狹徑’은 이에 대한 가사 원문 표기에 ‘俠經’으로 되어 있음.

물외협경(物外狹經)[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띠끌 세상 밖의 좁은 길. 성인의 길이 아닌 이단의 길.

물외협경(物外狹經)[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띠끌 세상 밖의 좁은 길. 성인의 길이 아닌 이단의 길.

물요여[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5 페이지 / 전적]

무료(無聊)하여.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