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미(微)[팔도가 7 페이지 / 전적]

어릴 적.이름을 날리기 전.

미각자(未覺者)[막소가(莫笑歌) 15 페이지 / 전적]

아직 깨닫지 못한 자.

미각지당 춘초몽(未覺池塘 春草夢)[회경가 2 페이지 / 전적]

지당 춘초의 꿈이란 한창 소년 시절의 즐거웠던 일을 비유한 것으로, 주희(朱熹)의 우성(偶成) 시에 “소년은 늙기 쉽고 학업은 이루기 어렵나니, 한 치의 시간도 가벼이 여겨서는 안 되리. 못가 봄 풀의 꿈을 채 깨기도 전에, 뜰 앞의 오동 잎에 벌써 가을 소리가 들리네.〔少年易老學難成 一寸光陰不可輕 未覺池塘春草夢 階前梧葉已秋聲〕” 에서 온 말이다

미간(眉間)[제주여행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두 눈썹 사이.

미거(未擧)[사친가2(思親歌(二)) 11 페이지 / 전적]

철이 나지 않아 사리에 어두움.

미거(未擧)[사향곡(향곡) 11 페이지 / 전적]

철이 없고 사리가 어두움.

미거(未擧)[긔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철이 없고 사리에 어두움.

미거(未擧)[칠여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미거하다(철이 없고 사리에 어둡다)’의 어근.

미거(未擧)[신힁가라 14 페이지 / 전적]

철이 없고 사리에 어두움.

미거(未擧)하여[환무자탄가 3 페이지 / 전적]

아직 철이 나지 않아 하는 짓이 어리석고 미련하다.

미결수(未決囚)[무제(▩▩▩▩) 21 페이지 / 두루마리]

법적 판결이 나지 않은 상태로 구금되어 있는 피의자 또는 형사 피고인.

미결수(未決囚)[무제(▩▩▩▩) 21 페이지 / 두루마리]

법적 판결이 나지 않은 상태로 구금되어 있는 피의자 또는 형사 피고인.

미고(靡盬)[석천집(石川集二-一)2-1 112 페이지 / 전적]

盬는 不堅固니 不堅固하게 해서는 안된다는 뜻, 「詩經」王事靡盬를 引用한 말, 즉 國事에 勞苦한다는 뜻

미곤(未坤)[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5 페이지 / 전적]

서남 방향.

미곤(未坤)[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6 페이지 / 전적]

서남 방향.

미곤(未坤)[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6 페이지 / 전적]

서남 방향.

미곤(未坤)[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2 페이지 / 전적]

남서 방향.

미곤(未坤)[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3 페이지 / 전적]

남서쪽 방향.

미곤방(未坤方)[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1 페이지 / 전적]

서남방향.

미곤방(未坤方)[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4 페이지 / 전적]

서남 방향.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