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물욕지장(物慾之腸)[경세가(警世歌) 1 페이지 / 전적]
재물을 탐내는 마음.
물유본말(物有本末)[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33 페이지 / 전적]
물건에는 근본과 끝이 있다는 뜻으로, 모든 사물에는 질서가 있다는 말.
물유본말(物有本末)[ 1 페이지 / ]
물건에는 근본과 끝이 있다는 뜻으로, 모든 사물에는 질서가 있다는 말.
물유본말(物有本末)[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4 페이지 / 전적]
물건에는 근본과 끝이 있다는 뜻으로, 모든 사물에는 질서가 있다는 말.
물음막음[종매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묻는 말을 막아버림.
물이나 마시며 안회를[석천집(石川集二-二)2-2 187 페이지 / 전적]
공자가 말했다. ‘어질다. 안회여.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을 먹고 마시며 누추한 골목 집에 살고 있으되, 다른 사람이라면 견디지 못할 괴로움과 걱정을 안회는 오히려 자신의 즐거움으로 여겨 고치지 않았다. 참으로 어질구나. 안회여.‘ -<<논어>> 제6 <옹야>
물이두고[용문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물이 간직되고. 빛깔이 간직되고. ‘물’은 ‘물색’ 빛깔의 뜻이다.
물정(物情)[한별곡 15 페이지 / 전적]
세상의 형편이나 인심.
물침(勿侵)[용문가라 6 페이지 / 전적]
침범치 못함.
물태(勿怠)[자직가(子職歌) 6 페이지 / 전적]
게을리 하지 아니함.
물태(勿怠)[경명가(敬命歌) 2 페이지 / 전적]
게을리 하지 아니함.
물하고[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9 페이지 / 전적]
물어보고.
물형(物形)[북쳔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사물의 생김새.
물형(物形)[팔도가 12 페이지 / 전적]
물건의 생김새.
물형(物形)[팔도가 12 페이지 / 전적]
물건의 생김새.
물형(物形)[북쳔가 19 페이지 / 두루마리]
물건의 생김새.
물형(物形)[용담가라 7 페이지 / 전적]
형제를 가진 물건. 무극의 운세가 구미산의 산수로 형체를 보임.
물형부(物形符)[안심가 6 페이지 / 전적]
어떤 물건의 모양을 그린 부적.
물형체[용문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물형체(物形體). 사물의 형체.
물화(物化)[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사물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