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갑제(甲第)[옥셜화답 11 페이지 / 전적]
크고 너르게 아주 잘 지은 집.
갑제(甲第)[셔유곡 19 페이지 / 전적]
크고 넓게 아주 잘 지은 집.
갑주(甲冑)[팔도안희가 9 페이지 / 전적]
갑옷과 투구를 아울러 이르는 말.
갑주(甲冑)[옥산가라 16 페이지 / 전적]
갑옷과 투구를 아울러 이르는 말.
갑주(甲冑)[시절가 28 페이지 / 전적]
갑옷과 투구를 아울러 이르는 말.
갑진(甲辰)[시절가 7 페이지 / 전적]
육십갑자의 마흔한째. 여기서는 1904년 갑진년을 이름.
갑진년(甲寅年)[한양가라 58 페이지 / 전적]
서기 1544년.
갑진년(甲辰年)[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9 페이지 / 전적]
서기 1724년.
갑진년(甲辰年)[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1 페이지 / 전적]
갑신년(甲申年)을 잘못 쓴 것으로 이 해에 갑신정변(甲申政變)이 일어남.
갑진년(甲辰年)[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9 페이지 / 전적]
서기 1904년.
갑진년(甲辰年)[한흥가라 59 페이지 / 전적]
중종 39년(1544).
갑진년(甲辰年)[한흥가라 59 페이지 / 전적]
중종 39년(1544).
갑진년(甲辰年)[한흥가라 59 페이지 / 전적]
중종 39년(1544).
갑진년(甲辰年)[한양가라 59 페이지 / 전적]
서기 1544년.
갑진년(甲辰年)[갑지녹이라 1 페이지 / 전적]
선조 37년, 서기 1604년.
갑짜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9 페이지 / 전적]
「造次」― 倉卒의 뜻임. 論語 仁里篇에 「造次必於是」가 있는데 鄭註에 「造次 倉卒也」라 하였음.
갑합(勘合)[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35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에 발송할 공문의 끝에 원부를 대고 그 위에 찍던 계인(契印)으로 연월일과 자호(字号)를 새겼음. 서로 대조하여 맞춰본다는 뜻으로도 쓰임.
갓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85 페이지 / 전적]
「濯纓歌」―孟子 離婁篇에 「滄浪之水淸兮 句以濯吾纓 滄浪之水濁兮 可以濯吾足」이라 했는데、이는 孺子가 부른 노래이므로 濯纓歌라 이름한 것임。
갓끈[석천집(石川集二-四)2-4 63 페이지 / 전적]
원문의 장영(長纓)은 “긴 갓끈”이란 뜻.중국 漢代의 終軍이란 將軍이 “원컨대 긴 갓끈을 주시면 남쪽 越나라의 왕을 묶어 와서 궁전 앞에 대령하겠나니다.“란 고사에서 인용한 말.
갓나우[소상팔경가 10 페이지 / 전적]
까투리를 말하는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