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강력(强力)[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0 페이지 / 전적]
「强力」- 禮記에 「四十日强而仕」라 하였고 註에 「强은 두가지義가 있으니 四十不惑은 이미 智慮가 强한 것이요 다음은 氣力이 强한 이라」했음.歐陽公의 나이가 이때 사십대이므로 말하였음.
강령(綱領)[지리산이수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일의 근본이 되는 큰 줄거리.단체 등의 기본 입장이나 방침, 운동 규범 따위를 열거한 것.
강론(講論)[제면암최선생익현동업기비봉 2 페이지 / 전적]
학술이나 도의(道義)의 뜻을 설명하고 풀이하는 것.
강론(講論)[여행록이라(여녹이라) 2 페이지 / 전적]
학술(學術)이나 도의(道義)의 뜻을 강석하고 토론(討論)함.
강론(講論)[벽천가 7 페이지 / 전적]
학술이나 도의(道義)의 뜻을 해설하며 토론함.
강릉 백청[효부가 21 페이지 / 전적]
강릉에서 생산된 빛깔이 희고 품질이 좋은 꿀.
강릉(康陵)[한양가라 60 페이지 / 전적]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조선 명종과 정비 인순왕후심씨의 묘.
강릉공(江陵公)[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10 페이지 / 전적]
정철(鄭澈)의 둘째 아들인 정종명(鄭宗溟 : 1526년 명종20-1626년 인조4)을 말함. 1590년(선조 23)에 진사가 되고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주(義州)의 행재소(行在所)에 가서 별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병조좌랑(兵曹佐郞)이 되었다. 1594년 아버지의 죄가 추론(追論)되자 이를 항변하다가 파직되었다. 인조반정 후 직강(直講)에 보임되고 강릉부사(江陵府使)가 되었다가 임지에서 죽었다
강릉포[은삭가 9 페이지 / 전적]
강원도 강릉에서 나는 베.
강릉포[은삭가 9 페이지 / 전적]
강원도 강릉에서 나는 베.
강림(降臨)[궁월가라 15 페이지 / 전적]
신이 하늘에서 인간 세상으로 내려옴.
강림도령[쳥츈상심곡(쳥츈심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광양땅을 다스리는 김치원의 부하였는데 죄를 얻어 염라대왕을 잡으러 갔다가 염라대왕의 저승차사가 된 이야기. 강림도령은 후에 삼천갑자 동방삭을 잡으러 감.
강명길(康命吉)[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0 페이지 / 전적]
조선 정조 때의 전의(典醫)(1737~1801). 자는 군석(君錫). 양주 목사(楊州牧使)를 지냈고 정조 때 전의가 되었다. 저서에 ≪제중신편≫이 있다.
강문교(江門橋)[관동별곡 14 페이지 / 전적]
경포호수와 동해바다 사이에 놓인 다리.
강민첨(姜民瞻)[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2 페이지 / 전적]
고려 현종 때의 장군(?~1021)으로 현종 때에 동여진(東女眞)을 물리쳤으며, 강감찬의 부장(副將)으로서 흥화진(興化鎭)과 자산(慈山)에서 거란군을 대파하였다.
강박(强拍)[추월감 4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의 뜻을 무리하게 내리누르거나 자기 뜻에 억지로 따르게 함.
강박(强迫)[츄억감 6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의 뜻을 억지로 꺾거나, 자기 뜻에 억지로 따르게 함.
강벽(强癖)[초원동낙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을 이기려고 하는 습성.
강벽(强癖)[초원동낙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을 이기려고 하는 습성.
강보(襁褓)[회경가 12 페이지 / 전적]
포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