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강능(岡陵)[송강집(松江集一)1 102 페이지 / 전적]

詩經 小雅 天保의「如岡 如陵」을 말함.

강대성(姜大成)[막소가(莫笑歌) 10 페이지 / 전적]

유도(儒道)계의 신종교인 갱정유도(更定儒道)의 창시자이다.갱정유도는 일명 일심교(一心敎)라고도 하는데, 교단의 정식명칭은 시운기화유불선동서학합일대도대명다경대길유도갱정교화일심(時運氣和儒佛仙東西學合一大道大明多慶大吉儒道更定敎化一心)이다.

강도(江都)[송강집(松江集六)6 24 페이지 / 전적]

강화(江華).

강도록[팔역가(八域歌) 35 페이지 / 전적]

강도몽유록, 혹은 강학록

강도사절(江都死節)[팔도안희가 9 페이지 / 전적]

도(江都)는 사도(四都)의 하나로 지금의 강화(江華道)를 달리 일컫는 말이다. 고려중기 몽고(蒙古)의 침입(侵入)으로 인해 개성(開城)을 대신하여 39년 동안의 임시(臨時) 수도였으며 이로 인해 강도라 불렀다. 사절(死節)은 절개(節槪)를 지키고자 하여 죽음을 택했다는 뜻이다.

강도실수(江都失守)[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1 페이지 / 전적]

강도실함(江都失陷). 인조 15년 청의 침입으로 조정의 전직 ·현직 고관 등 많은 사람이 강화도로 피난하고, 검찰사 김경징(金慶徵)과 유수(留守) 장신(張紳)으로 방위하게 하는데, 강화도 방위의 총사령관 김경징은 북방민족이 수전(水戰)에 능하지 못하다고 속단하고, 방비를 허술히 하여 청에게 함락당한 사건.

강도실수(江都失守)[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1 페이지 / 전적]

강도실함(江都失陷). 인조 15년 청의 침입으로 조정의 전직 ·현직 고관 등 많은 사람이 강화도로 피난하고, 검찰사 김경징(金慶徵)과 유수(留守) 장신(張紳)으로 방위하게 하는데, 강화도 방위의 총사령관 김경징은 북방민족이 수전(水戰)에 능하지 못하다고 속단하고, 방비를 허술히 하여 청에게 함락당한 사건.

강도실수(江都失守)[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1 페이지 / 전적]

강도실함(江都失陷). 인조 15년 청의 침입으로 조정의 전직 ·현직 고관 등 많은 사람이 강화도로 피난하고, 검찰사 김경징(金慶徵)과 유수(留守) 장신(張紳)으로 방위하게 하는데, 강화도 방위의 총사령관 김경징은 북방민족이 수전(水戰)에 능하지 못하다고 속단하고, 방비를 허술히 하여 청에게 함락당한 사건.

강도실수(江都失守)[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강도실함(江都失陷). 인조 15년 청의 침입으로 조정의 전직 ·현직 고관 등 많은 사람이 강화도로 피난하고, 검찰사 김경징(金慶徵)과 유수(留守) 장신(張紳)으로 방위하게 하는데, 강화도 방위의 총사령관 김경징은 북방민족이 수전(水戰)에 능하지 못하다고 속단하고, 방비를 허술히 하여 청에게 함락당한 사건.

강도실수(江都失守)[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강도실함(江都失陷). 인조 15년 청의 침입으로 조정의 전직 ·현직 고관 등 많은 사람이 강화도로 피난하고, 검찰사 김경징(金慶徵)과 유수(留守) 장신(張紳)으로 방위하게 하는데, 강화도 방위의 총사령관 김경징은 북방민족이 수전(水戰)에 능하지 못하다고 속단하고, 방비를 허술히 하여 청에게 함락당한 사건.

강동[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4 페이지 / 전적]

「江東渭北」―親朋끼리 쓰는 말임. 杜甫懷李白詩에「渭北春天樹 江東日暮雲」의 句가 있는데 渭北은 杜甫가 있는 곳이요 江東은 李白이 있는 곳임.

강동면(江東面)양자동(良子洞)[애부가(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에 있는 양동마을. 일제강점기에 경주군 강동면 양자동(良子洞)으로 바뀌었음.

강동면(江東面)양자동(良子洞)[애부가(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에 있는 양동마을. 일제강점기에 경주군 강동면 양자동(良子洞)으로 바뀌었음.

강동자제(江東子弟) 팔천인(八千人)[춘산채지가(春山采之歌) 4 페이지 / 전적]

강동(江東)은 양쯔강의 동쪽인 강소성으로 초(楚)의 항우(項羽)가 팔천 자제로써 기병한 곳임.

강두(江頭)[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5 페이지 / 전적]

강가의 나루 근처.

강두(江頭)[몽별가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강가의 나루 근처. (陜川)

강두(江頭)[몽별가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강가의 나루 근처. (陜川)

강두(江頭)[봉별가 47 페이지 / 전적]

강가의 나루 근처.

강두(江頭)[선유가라 5 페이지 / 전적]

강가의 나루 근처.

강락(康樂)[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2 페이지 / 전적]

「康樂」―謝靈運의 字는 康樂인데 安의 孫이다. 그 五言詩는처음 핀 芙蓉과 같았으며 善書兼文章하여 二寶라 칭하였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