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강보(襁褓)[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어린아이의 작은 이불 또는 덮고 깔거나 어린아이를 업을 때 쓰는 포대기를 말함.

강보(襁褓)[헌수가(헌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포대기.

강보(襁褓)[헌수가(헌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포대기.

강보(襁褓)[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어린아이의 작은 이불 또는 덮고 깔거나 어린아이를 업을 때 쓰는 포대기를 말함.

강보(襁褓)[사향곡(향곡) 8 페이지 / 전적]

포대기.어린아이의 작은 이불.

강보(襁褓)[한양가라 22 페이지 / 전적]

어린 아이가 쓰는 작은 이불로 포대기를 말한다.

강보(襁褓)[사모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포대기

강보(襁褓)[삼팔가(三八歌) 7 페이지 / 전적]

포대기.

강보(襁褓)[벽천가 57 페이지 / 전적]

포대기.

강보미년[종매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사촌 여동생의 이름인 듯.

강보아(襁褓兒)[옥산가라 26 페이지 / 전적]

강보유아(襁褓幼兒). 아직 걷지 못하여 포대기에 싸서 기르는 어린아이.

강보유아(襁褓幼兒)[칠녀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강보(襁褓)에 싸인 젖먹이.

강보유아(襁褓幼兒)[옥산가라 28 페이지 / 전적]

아직 걷지 못하여 포대기에 싸서 기르는 어린아이.

강보유치(襁褓幼稚)[헌수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포대기에 싸인 어린 자식.

강보유치(襁褓幼稚)[헌수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포대기에 싸인 어린 자식.

강보자식(襁褓子息)[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6 페이지 / 전적]

포대기를 띠고 길러야하는 아직 어린자식.

강복원(降福院)[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29 페이지 / 전적]

평양 서북쪽 15리 지점에 위치한 원(院).

강산(江山)[개화별곡이라 4 페이지 / 전적]

강과 산이라는 뜻으로, 자연의 경치를 이르는 말.

강산여수(江山麗水)[해방후환히락가(방후환히락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아름다운 산과 강.

강산여수(江山麗水)[해방후환히락가(방후환히락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아름다운 산과 강.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