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백면(白面)[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순박한 사람. 백면서생(白面書生).
백면(白面)[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2 페이지 / 전적]
순박한 사람. 백면서생(白面書生).
백모(伯母)[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2 페이지 / 전적]
큰 어머니.
백목(白木)[갑지녹이라 10 페이지 / 전적]
무명.
백목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8 페이지 / 전적]
「璵璠」 ― 美玉을 말함. 左傳 定公五年 「季平字 卒干房 陽虎將以璵璠歛 仲梁懷不與」라 하였는데 註에 「璵璠은 美玉인데 임금이 佩를 한다」하였음.
백묘전(百畝田)[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3 페이지 / 전적]
백묘의 밭을 뜻하는 말로 묘는 백 평 정도의 면적을 뜻한다.
백묘전(百畝田)[호남가라 1 페이지 / 전적]
백묘의 밭을 뜻하는 말로 묘는 백 평 정도의 면적을 뜻한다.
백묘지철(百畝之徹)[민농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조나라의 조세법. 100묘의 정전(井田) 가운데 공전(公田)을 경작케 하여 그 10분의 1을 징수하였다.
백무(百無)[개화별곡이라 20 페이지 / 전적]
아무것도 없는 것.
백무(百畝)[석천집(石川集二-五)2-5 117 페이지 / 전적]
백무지전(百畝之田). 한 사나이가 받는 토지.
백문석[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1 페이지 / 전적]
무늬가 없는 백판(白版)의 돗자리.
백미(白眉)[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4 페이지 / 전적]
「白眉」-蜀漢 馬良의 字는 季常인데 兄弟五人이 모두 常으로 돌림하여 字를 지었으며 아울러 才名이 있으니 鄕里에서 말하기를 「馬氏五常 白眉最良」이라 했음。馬良이 눈썹속에 白眉가 돋았으므로 말이 된 것임。三國志 馬良傳。
백미(白米)[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12 페이지 / 전적]
흰쌀.
백미절승(百美絶勝)[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9 페이지 / 전적]
여러 아름다운 사람들 중에서 미모가 가장 뛰어남.
백미지량(白眉之良)[석천집(石川集二-五)2-5 151 페이지 / 전적]
흰 눈썹을 한 마량(馬良). 여럿 가운데 가장 뛰어난 사람을 일결음. 옛날 중국 촉(蜀)의 마씨(馬氏) 집안 오 형제 중 눈썹에 흰털이 섞인 마량이 제일 뛰어났던 데서 나온 말.
백반(白飯)[기원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흰밥(잡곡을 섞지 아니하고 흰쌀로만 지은 밥).
백반총탕(白飯葱湯)[무제(▩▩▩▩) 8 페이지 / 두루마리]
흰밥과 파로 끓인 국이라는 뜻으로 반찬이 없는 검소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백반총탕(白飯葱湯)[무제(▩▩▩▩) 8 페이지 / 두루마리]
흰밥과 파로 끓인 국이라는 뜻으로 반찬이 없는 검소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백반총탕(白飯葱湯)[경영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흰밥과 파로 끓인 국이라는 뜻으로, 반찬이 없는 검소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백발(白髮)[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하얗게 센 머리카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