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백옥경(白玉京)[형졔분슈가 6 페이지 / 전적]
하늘 위에 옥황상제가 산다고 하는 가상적인 서울.
백옥동아[효자가 2 페이지 / 전적]
백옥 같이 얼굴이 희고 귀여운 아이. ‘-동’이나 ‘-둥’과 같은 접미사가 붙어 어린이를 미화하는 경우가 민요, 판소리, 가사 등에서 쓰인다. 충신동, 효자동, 백자동 등이 모두 그러한 예이다.
백옥등(白玉燈)[이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백옥처럼 밝은 등.
백옥루(白玉樓)[관동별곡 11 페이지 / 전적]
옥황상제가 거처한다는 누각.
백옥루(白玉樓)[도덕가(道德歌) 5 페이지 / 전적]
천상에 있다고 한 신선이 사는 상상 속의 궁전
백옥루(白玉樓)[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16 페이지 / 전적]
「白玉樓」-唐詩人 李賀長吉의 故事를 말한 것인데 위에서 자세히 나타나 있음。
백옥루(白玉樓)[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4 페이지 / 전적]
「白玉樓」-文人이 죽은 뒤에 升天하여 거처하는 樓閣을 말함 唐詩紀事에「李賀長古將死時或晝見一緋衣人 駕赤蚪 持一版書若太古篆或霹靂石文者 云當召長古 長古了不能讀 欻下榻叩頭言 阿㜷老且病 賀不顧去 緋衣人笑曰 帝成白玉樓 立召君爲記
백옥루(白玉樓)[석천집(石川集二-三)2-3 75 페이지 / 전적]
문인(文人)이 죽은 후에 승천하여 살게 된다는 누각.
백옥루(白玉樓)[고령가곡여자들등님곡이라(고령가곡여들등님곡이라) 1 페이지 / 전적]
문인이 죽은 이후에 간다는 하늘에 있는 누각으로, 문인이나 묵객의 죽음을 이르는 말.
백옥루(白玉樓)[고분가 20 페이지 / 전적]
문인(文人)이나 묵객(墨客)이 죽은 뒤에 간다는 천상의 누각.당나라 시인 이하(李賀)가 죽을 때에 천사가 와서 천제(天帝)의 백옥루가 이루어졌으니 이하를 불러 그것을 기록하게 하려 한다고 말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백옥루(白玉樓)[고분가 20 페이지 / 전적]
문인(文人)이나 묵객(墨客)이 죽은 뒤에 간다는 천상의 누각.당나라 시인 이하(李賀)가 죽을 때에 천사가 와서 천제(天帝)의 백옥루가 이루어졌으니 이하를 불러 그것을 기록하게 하려 한다고 말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백옥루(白玉樓)[지리산이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옥황상제의 궁전.
백옥반[봉션화가 4 페이지 / 전적]
백반(白礬)을 말하는 듯함. 봉숭아꽃으로 손톱에 물을 들일 때 백반 가루를 섞으면 더 고운 색이 나온다고 함.
백옥반(白玉盤)[로인가 5 페이지 / 전적]
흰 옥으로 만든 쟁반. 봉선제(封禪祭) 때에, 안주를 담는 데에 쓰던 그릇.
백옥반교(白玉盤喬)[백발가(白髮歌) 5 페이지 / 전적]
흰 옥으로 만든 쟁반을 높이 들어올림.
백옥배(白玉杯)[초한가라 18 페이지 / 전적]
백옥으로 만든 술잔.
백옥병(白玉甁)[이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백옥으로 만든 고운 병. 또는 백옥처럼 하얗고 깨끗한 병.
백옥봉[팔역가(八域歌) 38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 문인 백광훈, 삼당 시인
백옥첩(白玉牒)[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7 페이지 / 전적]
「白玉牒」―仙書를 말함.雲笈七籤에「三元經 皆刻金丹之書 盛以雲錦囊 封以三五神寶 藏於九天之上 大有之宮 謂之玉牒金簡」이라 했음.
백요부[춘몽가(츈몽가) 10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대의 시인 백거이가 젊은 시절에 지은 서사적인 장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