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백사(百事)[가사소리 19 페이지 / 전적]

여러 가지의 일. 또는 모든 일.

백사(百事)[가사소리 31 페이지 / 전적]

여러 가지의 일. 또는 모든 일.

백사가주(百事可做)[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2 페이지 / 전적]

무슨 일이든지 이루어낼 수 있음.

백사대길(百事大吉)[낙수가 22 페이지 / 전적]

온갖 일이 크게 좋음.

백사마 당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 772-846)가 원화 10년(815)에 구강군(九江郡)[석천집(石川集二-二)2-2 36 페이지 / 전적]

당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 772-846)가 원화 10년(815)에 구강군(九江郡) 사마(司馬)로 좌천되었는데, 그 이듬해 가을에 강가에서 손님을 배웅하다가 비파 소리를 듣고 그 여인의 사연을 들은 뒤에 감동되어 <비파행(琵琶行)>을 지었다. 그 마지막 구절에, ‘그 가운데 누가 가장 많이 눈물 흘렸던가 / 강주 사마의 푸른 저고리가 흠뻑 젖었네.[就中泣下誰最多, 江州司馬靑衫濕]‘이라 했다.

백사불성(百事不成)[명륜가(明倫歌) 35 페이지 / 전적]

모든 일이 이루어지 않음.

백사장(白沙場)[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2 페이지 / 전적]

강가·바닷가의 흰 모래가 깔려 있는 곳.

백사지장(白沙之場)[소상팔경가 26 페이지 / 전적]

흰 모래가 깔려 있는 땅.

백상(白商)[별교사(별교) 8 페이지 / 두루마리]

가을을 달리 이르는 말.

백상루[팔역가(八域歌) 11 페이지 / 전적]

평안도 안주에 있는 누각, 관서 8경의 하나

백상루(百祥樓)[연행별곡(연별곡) 8 페이지 / 전적]

평안남도 안주군 안주읍 북쪽 교외의 청천강 기슭에 있는 누각.관서 팔경의 하나로 경치가 아름다움.

백석탄(白石灘)[환행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경북 청송에 위치한 계곡. 백옥처럼 흰 바위들이 길게 펼쳐져 있어 백석탄이라 불리는 곳.

백석탄(白石灘)[환행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경북 청송에 위치한 계곡. 백옥처럼 흰 바위들이 길게 펼쳐져 있어 백석탄이라 불리는 곳.

백석탄白石灘[ 1 페이지 / ]

중국 섬서성 남전현 망천에 있는 여울명.

백설(白雪)[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1 페이지 / 전적]

흰 눈.

백설(白雪)[송강집(松江集三)3 26 페이지 / 전적]

초(楚)나라 서울 영중(郢中)의 유명한 가곡의 이름. 宋玉對楚王問에「客有歌於郢中者 其爲陽春白雪 國中屬而和之者 不過數十人」

백설(白雪)[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흰눈.

백설(白雪)[선유가라 6 페이지 / 전적]

흰눈.

백설(百舌)[사향곡(향곡) 3 페이지 / 전적]

백설조(百舌鳥)의 준말.지빠귀과에 딸린 새를 통틀어 일컫는 말로 개똥지빠귀ㆍ검은지빠귀ㆍ노랑지빠귀ㆍ붉은지빠귀ㆍ호랑지빠귀ㆍ흰눈썹지빠귀ㆍ흰배지빠귀 따위.까치보다 좀 작은 새의 하나.암수가 빛깔이 다른데, 대체로 붉은 갈색(褐色)의 머리와 검은빛의 날개를 가졌으며 가슴과 배는 흼.여름새로 극동 지방(地方)에서 번식(繁殖)하고, 동남(東南) 아시아에서 겨울을 보내는데, 먹이는 주로 동물성(動物性)임.

백설(百舌)[사향곡(향곡) 13 페이지 / 전적]

백설조(百舌鳥)의 준말.지빠귀과에 딸린 새를 통틀어 일컫는 말로 개똥지빠귀ㆍ검은지빠귀ㆍ노랑지빠귀ㆍ붉은지빠귀ㆍ호랑지빠귀ㆍ흰눈썹지빠귀ㆍ흰배지빠귀 따위.까치보다 좀 작은 새의 하나.암수가 빛깔이 다른데, 대체로 붉은 갈색(褐色)의 머리와 검은빛의 날개를 가졌으며 가슴과 배는 흼.여름새로 극동 지방(地方)에서 번식(繁殖)하고, 동남(東南) 아시아에서 겨울을 보내는데, 먹이는 주로 동물성(動物性)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