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백씨(伯氏)[한흥가라 57 페이지 / 전적]

남의 맏형을 높여 이르는 말.

백씨(伯氏)[한양가라 56 페이지 / 전적]

남의 맏형을 높이 부르는 말.

백씨장(伯氏長)[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3 페이지 / 전적]

흥선대원군의 형인 흥인군(興寅君) 이최응(李最應, 1815~1882)을 말함.

백아[팔역가(八域歌) 9 페이지 / 전적]

춘추시대 거문고의 명인으로 종자기의 친구

백아(伯牙)[녁대가(녁가) 28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 시대의 거문고의 명인. 그의 거문고 소리를 즐겨 듣던 친구 종자기(鍾子期)가 죽자 자기의 거문고 소리를 이해하는 사람을 잃었다고 슬퍼한 나머지 거문고의 줄을 끊고 일생 동안 거문고를 타지 않았다고 하는 ‘백아절현(伯牙絶絃)’ 고사가 유명함.

백악[팔역가(八域歌) 48 페이지 / 전적]

서울의 백악산

백안(白雁)[사친가2(思親歌(二)) 14 페이지 / 전적]

흰 기러기.

백안상시(白眼相視)[가사소리 9 페이지 / 전적]

백안시(白眼視).남을 업신여기거나 무시하는 태도로 흘겨봄.중국의 『진서(晉書)』 「완적전(阮籍傳)」에서 나온 말로, 진나라 때 죽림칠현의 한 사람인 완적(阮籍)이 반갑지 않은 손님은 백안(白眼)으로 대하고, 반가운 손님은 청안(靑眼)으로 대한 데서 유래함.

백암사(白巖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7 페이지 / 전적]

「白巖」―지금의 白羊寺인데 全羅南道, 長城郡에 있음.

백야(白夜)[북쳔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하지(夏至) 무렵 해가 늦게 져서 초저녁에도 환한 현상.

백약 무효(百藥無效)[과부가(寡婦歌) 2 페이지 / 전적]

온갖 약을 다 써도 효험이 없음.

백양(伯陽)[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0 페이지 / 전적]

「伯陽」―老聃의 字임.

백양(伯陽)[석천집(石川集二-三)2-3 14 페이지 / 전적]

노자(老子)의 자(字). 노자를 가리킴.

백양(白楊)[팔도가 16 페이지 / 전적]

사시나무.

백양(白楊)[팔도가 16 페이지 / 전적]

사시나무.

백양(白楊)[북쳔가 28 페이지 / 두루마리]

사시나무.

백양(白楊)[거창가라 26 페이지 / 전적]

① ‘황철나무’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② 사시나무.③ 은백양(銀白楊).

백양(白楊)[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1 페이지 / 전적]

① '황철나무'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② 사시나무.③ 은백양(銀白楊).

백양(白楊)[아림가(娥林歌) 27 페이지 / 전적]

① '황철나무'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② 사시나무. ③ 은백양(銀白楊).

백양(白楊)나무[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7 페이지 / 전적]

사시나무.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