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백설(百舌)[답사향곡(답향곡) 2 페이지 / 전적]

백설조(百舌鳥)의 준말.지빠귀과에 딸린 새를 통틀어 일컫는 말로 개똥지빠귀ㆍ검은지빠귀ㆍ노랑지빠귀ㆍ붉은지빠귀ㆍ호랑지빠귀ㆍ흰눈썹지빠귀ㆍ흰배지빠귀 따위.까치보다 좀 작은 새의 하나.암수가 빛깔이 다른데, 대체로 붉은 갈색(褐色)의 머리와 검은빛의 날개를 가졌으며 가슴과 배는 흼.여름새로 극동 지방(地方)에서 번식(繁殖)하고, 동남(東南) 아시아에서 겨울을 보내는데, 먹이는 주로 동물성(動物性)임.

백설건곤(白雪乾坤)[말이타국원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흰 눈이 온 천지를 뒤덮음.

백설곡(白雪曲)[송강집(松江集七)7 143 페이지 / 전적]

초(楚)나라 가곡(歌曲)의 명칭. 고상한 가사(歌詞)를 일컫는 말. 宋玉의 對楚王文에 「國中屬而和者不過數人而已」

백설조(百舌鳥)[권왕가 29 페이지 / 전적]

새의 이름으로, ① 지빠귀. ② 때까치.

백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3 페이지 / 전적]

「元元」-백성을 이름。國策註에「民은 善하다 民이란 다 善하기 때문에 元이라 稱한다」하였음。

백성가(百姓家)[남천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백성의 가정. 백성은 나라의 근본을 이루는 일반 국민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 예전에, 사대부가 아닌 일반 평민을 이르던 말.

백성가(百姓家)[남천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백성의 가정. 백성은 나라의 근본을 이루는 일반 국민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 예전에, 사대부가 아닌 일반 평민을 이르던 말.

백성권농(百姓勸農)[창덕가2 56 페이지 / 전적]

백성들에게 농사짓기를 권함.

백성권농(百姓勸農)[창덕가2 57 페이지 / 전적]

백성들에게 농사짓기를 권함.

백성류(百姓類)[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일반 백성의 무리 가운데.

백성류(百姓類)[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일반 백성의 무리 가운데.

백성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19 페이지 / 전적]

「黎元」―黎는 黔이요 元은 首이니, 百姓을 말한 것임. 杜甫奉先縣詠懷詩에 「窮年憂黎元 歎息膓內熱」이 있음.

백세불망(百世不忘)[궁월가라 6 페이지 / 전적]

백세토록 잊혀지지 않음.

백세안녕(百歲安寧)[사친가2(思親歌(二)) 18 페이지 / 전적]

백세토록 오래 사시며, 평생 아무 탈없이 몸이 건강하고 마음이 편안한 것.

백세유명(百世遺名)[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5 페이지 / 전적]

오래도록 이름이 남음.

백세청풍(百世淸風)[팔도안희가 11 페이지 / 전적]

충남 금산에 야은 길재(冶隱 吉再, 1353-1419)를 모신 사당인 청풍사(淸風祠)에 있는 글귀로 백세청풍(百世淸風), 지주중류(砥柱中流) 두 구절이 댓구를 이루고 있다. 백세청풍은 “오랜 세월을 두고서도 맑은 바람처럼 깨끗한 삶을 살자”는 뜻이며, 지주중류는 “물이 세차게 흘러가는 강물 한 가운데 우뚝 솟아있는 숫돌 모양의 돌”이란 뜻으로 세상이 흙탕물 흘러넘치는 강물 같을지라도 돌덩이처럼 변함없이 꿋꿋이 자신의 본질을 지키며 살자는 뜻을 담고 있다

백세청풍(百世淸風)[조심가라 25 페이지 / 전적]

오래도록) 부는 맑은 바람"이라는 뜻으로 보통 오랜 세월 동안 후세인들의 모범이 될만한 훌륭한 사람을 일컫는 말.

백세청풍(百世淸風)[조심가라 25 페이지 / 전적]

오래도록) 부는 맑은 바람"이라는 뜻으로 보통 오랜 세월 동안 후세인들의 모범이 될만한 훌륭한 사람을 일컫는 말.

백세청풍(百世淸風)[연행별곡(연별곡) 18 페이지 / 전적]

오래도록 부는 맑은 바람.

백세향수(百歲享壽)[뎡슝샹회방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백세동안 오래 사는 복을 누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