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백호외봉(白虎外峯)[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2 페이지 / 전적]
백호의 바깥 봉우리의 능선. 간룡(幹龍) 밖의 산 능선을 말한다. 명당의 혈(穴)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적다. 혈과 직접적 관계가 있는 것은 간룡(幹龍), 지룡(枝龍), 내룡(來龍)이다.
백호우변(白虎右邊)[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8 페이지 / 전적]
백호 등의 오른편 가장자리.
백호유방(白虎酉方)[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백호 형국의 서쪽 방향. 유방(酉方)은 서쪽.
백호유방(白虎酉方)[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백호 형국의 서쪽 방향. 유방(酉方)은 서쪽.
백호유방(白虎酉方)[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1 페이지 / 전적]
백호 형국의 서쪽 방향. 유방(酉方)은 서쪽.
백홍(白虹)[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6 페이지 / 전적]
빛깔이 흰 무지개.
백화(白花)[허후전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흰 꽃.
백화(百花)[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7 페이지 / 전적]
온갖 꽃.
백화남행(白花南行)[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6 페이지 / 전적]
무신이 과거 안 보고 등용되는 관리로 많이 남.
백화담수(白花潭水)[쟝한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온갖 꽃이 핀 깊은 못.
백화삼대(白花三代)[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8 페이지 / 전적]
3대에 걸쳐 무과(백패)급제 한다는 뜻.
백화작작(百花灼灼)[도리산화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모든 꽃이 화려하고 찬란하게 핀 모양.
백화작작(百花灼灼)[도리산화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모든 꽃이 화려하고 찬란하게 핀 모양.
백원말(白虎員末)[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백호의 둥그런 끝 부분. ‘원(員)’은 원(圓)의 뜻임.
백원말(白虎員末)[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백호의 둥그런 끝 부분. ‘원(員)’은 원(圓)의 뜻임.
백원말(白虎員末)[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2 페이지 / 전적]
백호의 둥그런 끝 부분. ‘원(員)’은 원(圓)의 뜻임.
밴들오죽[자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배가 오죽
뱀[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62 페이지 / 전적]
상산에 머리가 둘인 뱀이 있는데 그 머리를 치면 꼬리가 덤비고 꼬리를 치면 머리가 덤비며 가운데를 치면 머리와 꼬리가 함께 덤빈다고 함. 이로서 적의 습격에 응해 상호 긴밀하게 원호하는 진법(陣法)을 말함. 또한 문장의 수미(首尾)가 서로 잘 맞는 것을 이르는 말로도 쓰임.
뱁대기[직금가라 7 페이지 / 전적]
베를 짤 때에 날이 서로 붙지 않도록 사이사이에 지르는 막대.
뱁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 페이지 / 전적]
鷯」- 鷦鷯를 말함. 莊子 逍遙遊에「鷦鷯巢遊深林 不過一枝」라 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