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범(犯)[갑지녹이라 20 페이지 / 전적]

적의 침범에 대비하여 경계함.

범같은[자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호랑이같은.

범같은[한양가라 63 페이지 / 전적]

호랑이 같은.

범궐(犯闕)[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2 페이지 / 전적]

대궐을 침범함.

범급전산홀후산(帆急前山忽後山)[죽엽가(쥭엽가) 12 페이지 / 전적]

돛배가 빠르니 앞산이 어느새 뒤에 있는 것을. 조선시대 문인인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가 예전부터 전해 내려오던 노래를 개작한 「어부사(漁父辭)」의 한 구절임.

범급전산홀후산(帆急前山忽後山)[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2 페이지 / 전적]

돛배가 빠르니 앞산이 어느새 뒤에 있는 것을. 조선시대 문인인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가 예전부터 전해 내려오던 노래를 개작한 「어부사(漁父辭)」의 한 구절임.

범나부[동상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범나비. "호랑나비"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호랑나비. 호랑나빗과의 호랑나비, 제비나비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호랑나빗과의 곤충.

범나비[사미인곡 9 페이지 / 전적]

호랑나비.

범단(范丹)[자책가(가) 4 페이지 / 전적]

범염(范冉)의 또 다른 칭호. 중국 후한(後漢) 때의 사람. 자는 사운(史雲), 시호는 정 절선생(貞節先生). 나라에서 자주 부름이 있었으나 어머니를 걱정하여 세상의 잡된 일을 끊고 나 아가지 아니하고, 궁핍한 생화로 자약(自若)하며 자주 밥도 먹지 않으며 굶었다고 함. ‘범염생진 (范冉生塵)’은 마을 사람들이 그를 두고 불렀다는 고사에서 연유한 말임.

범도치(凡倒置)[오륜가라 31 페이지 / 전적]

무릇 차례나 위치 따위가 뒤바뀜.

범람(氾濫)[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0 페이지 / 전적]

제 분수에 넘침.

범람(氾濫)[로인가 10 페이지 / 전적]

바람직하지 못한 것들이 마구 쏟아져 돌아다님. 또는 제 분수에 넘침.

범람(氾濫)[한흥가라 105 페이지 / 전적]

범람(汎濫). 제 분수에 넘침.

범려(范蠡)[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50 페이지 / 전적]

「方傳蠡」―越人 陶朱公范蠡의 養魚方을 말함. 齊威公이 陶朱公을 초빙하여 묻되「公이 머물기만 하면 반드시 千金을 쌓게되니 무슨 術인가」하니 公은 말하기를「治生의 法이 다섯가지가 있는데 水蓄이 第一이요 이른바 水畜이란 魚이다. 六畒地로 池를 만들고 池中에 알을 밴 鯉魚로 길이 五尺되는 것 二十頭와 숫鯉魚 四頭를 二月上旬에 池中에 넣으면 된다」라 하였음.

범려(范蠡)[석천집(石川集二-三)2-3 127 페이지 / 전적]

범려범호(范蠡泛湖). 범려(范蠡)는 월(越)의 공신. 자는 소백(少伯). 문종(文種)과 더불어 오왕(吳王) 부차(夫差)를 쳐서 회계(會稽)의 치욕을 씻고 찬탄하면서 말하기를, “계연(計然)의 책모(策謀)가 일곱 개인데 월(越)에서 그 다섯을 써서 뜻을 얻어 이미 나라에 베풀었으니 나는 배를 타고 강호(江湖)에 떠돌아 다니며 지내리라.” 하고 벼슬을 그만두었다. 그는 성명(姓名)을 바꾸어 제(齊)를 거쳐 도(陶)에 들어가 거부(巨富)가 되었으며, 스스로

범맹박(范孟博)[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46 페이지 / 전적]

「范公轡」―范滂은 東漢征羌人이요 字는 孟博인데 젊어서 淸節로 自勵하였으며 冀州에서 盜賊이 일어나자 滂은 淸詔使가 되어 수레에 올라 꼬삐를 잡고 慨然히 天下를 澄淸할 생각을 가졌음.

범민(凡民)[경노의심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모든 백성이나 국민. 또는 벼슬이나 특권을 갖지 못한 일반 사람.

범방(范滂)[송강집(松江集二)2 144 페이지 / 전적]

한(漢)나라의 강직한 신하. 史要에「登車攬轡有澄淸天下之志」

범방(范滂)[시절가 11 페이지 / 전적]

후한(後漢) 때 사람. 청조사(淸詔使)가 되어 엄치(嚴治)하니 탐관 오리들이 그가 온다는 소문만 듣고도 도망함.

범백(凡百)[당산조션가 3 페이지 / 전적]

일상적 규범에서 벗어나지 않은 언행.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