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번거하다[창덕가2 69 페이지 / 전적]

조용하지 못하고 자리가 어수선하다는 뜻.

번게갓튼[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4 페이지 / 전적]

번개 같은.

번경천심(翻耕淺深)[충효가(忠孝歌) 32 페이지 / 전적]

논밭을 뒤집어 갈거나 평평하게 고르고, 얕게 파거나 깊게 팜.

번국(蕃國),견융(犬戎)[자경별곡 7 페이지 / 전적]

오랑캐 나라. 가사의 원문에서는 “번국(藩國)”이라고 하였으나, 이는 ‘제후의 나라’ 를 뜻하므로 그곳의 ‘藩’은 ‘蕃’으로 해독된다중국 고대 섬서성(陜西省)에 살던 오랑캐의 이름..

번국(藩國)[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27 페이지 / 전적]

제후의 나라 곧 번방藩邦.

번뇌 무명(煩惱無明)[권왕가 53 페이지 / 전적]

번뇌의 근원이 되는 무명. 무명(無明) : 십이 인연(十二因緣)의 하나. 사견(邪見)이나 망집(妄執)에 싸여서 불교의 진리를 깨닫지 못한 마음의 상태. 모든 번뇌의 근원이 됨.

번뇌(煩惱)[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음이나 몸을 괴롭히는 노여움이나 욕망 따위의 망령.

번뇌(煩惱)[당산조션가 5 페이지 / 전적]

마음이 시달려서 괴로움.

번뇌심(煩惱心) 번뇌(煩惱)[셔왕가 3 페이지 / 전적]

번뇌하는 마음. 심신을 괴롭히는 노여움 욕망 따위의 망념(妄念). 마음이 시달려서 괴로운 것.

번량(番粮)[송강집(松江集二)2 130 페이지 / 전적]

번(番)을 서는 군사의 식량.

번름입정(樊廪入井)[양친가(養親歌) 3 페이지 / 전적]

창고에 갇히고 우물에 들어감

번리(籓籬)[권션지로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울타리.

번리(藩籬)[붕우츠회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울타리.

번리(藩籬)[도덕구가 2 페이지 / 전적]

울타리.

번리(藩籬/樊籬)[도덕가라 3 페이지 / 전적]

울타리.

번병(藩屛)[송강집(松江集二)2 166 페이지 / 전적]

울타리란 말. 변하여 울타리로 집을 보호하듯이 왕실(王室)을 보호함을 이름. 左傳 僖公 二十四年에「封建親戚以藩屛周」

번복(藩服)[송강집(松江集二)2 164 페이지 / 전적]

주(周)나라 때 천하(天下)를 구복(九服)으로 분정(分定)하였는데 가장 먼곳을 번복(藩服)이라 칭함.

번복(飜覆)[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23 페이지 / 전적]

「飜覆手」- 신의가 없음을 말함. 杜甫貧交行에「飜手作雲覆手雨 世上輕薄何須數」라는 句가 있음.

번복지심(飜覆之心)[도덕가 5 페이지 / 전적]

이랬다저랬다 하며 고쳐 뒤집는 마음.

번복지심(飜覆之心)[흥비가 1 페이지 / 전적]

이랬다저랬다 하며 고쳐 뒤집는 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