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비금주수(飛禽走獸)[자경별곡(自警別曲) 4 페이지 / 전적]

날짐승 길짐승

비금주수(飛禽走獸)[명륜가(明倫歌) 70 페이지 / 전적]

날짐승과 길짐승.

비긍(悲肯)[형제이회가(형이회가) 4 페이지 / 전적]

슬픔과 기쁨.

비긍(悲肯)[형제이회가(형이회가) 4 페이지 / 전적]

슬픔과 기쁨.

비기(秘記)[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7 페이지 / 전적]

길흉화복을 예언한 기록.

비기다[거창가라 5 페이지 / 전적]

비스듬하게 기대다.

비기다[아림가(娥林歌) 5 페이지 / 전적]

비스듬하게 기대다.

비기지욕(肥己之慾)[명륜가(明倫歌) 81 페이지 / 전적]

자기 몸만 이롭게 하려는 욕심.

비내[오윤가 21 페이지 / 전적]

비녀를 의미하는 전라도 사투리.

비녀……되었고[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99 페이지 / 전적]

옛날에는 여자가 15세가 되면 요즘의 성인식처럼 계례 (笄禮)를 치루었다. 이때 비녀를 꽂고 다비를 꾸미는데, 태어난 지 3개월만에 배 안의 머리를 잘라 만든 다비를 계례 후에 수식으로 삼아 생육해주신 부모의 은혜를 잊지 않는 신표로 삼는다.《禮記 內則》

비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40 페이지 / 전적]

「鱗甲」― 鱗은 龍을 말한 것이요, 甲은 거북을 말한 것임. 「叅差」은 長短不齊의 貌.

비단 사화(賜花)[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5 페이지 / 전적]

비단으로 만든 어사화(御賜花). 어사화는 조선 시대에 문무과에 급제한 사람에게 임금이 하사하던 종이꽃을 말함.

비단 주머니[석천집(石川集二-四)2-4 44 페이지 / 전적]

『비단주머니(錦囊)』는 詩稿를 넣어 다니는 비단 주머니.

비단(緋緞)[사친가2(思親歌(二)) 3 페이지 / 전적]

명주실로 광택이 나게 짠 피륙의 총칭. 당혜(唐鞋) : 가죽신의 하나. 울이 깊고 코가 작으며, 앞코와 뒤에 당초(唐草) 무늬를 새겼음. 호관망(好冠網) : 좋은 갓망건. 관망(冠網) : 갓망건. 갓과 망건.

비단(緋緞)[한양가라 44 페이지 / 전적]

명주실로 짠 광택이 나는 피륙.

비단사화(緋緞賜花)[뎡슝샹회방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비단으로 만든 어사화

비답(批答)[거창가 22 페이지 / 전적]

상소(上疏)에 대한 임금의 하답(下答).

비답(批答)[거창가 22 페이지 / 전적]

상소(上疏)에 대한 임금의 하답(下答).

비답(批答)[옥산가라 40 페이지 / 전적]

임금이 상주문의 말미에 적는 가부의 대답.

비답(批答)[아림가(娥林歌) 27 페이지 / 전적]

임금이 상주문의 말미에 적는 가부의 대답.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