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비습(卑湿)하니[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6 페이지 / 전적]

낮고 물기가 많음.

비습(卑濕)[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4 페이지 / 전적]

추하게 떨어짐.

비승(飛昇)[당산조션가 10 페이지 / 전적]

하늘로 날아 올라감.

비승(飛昇)[어와따님요(어와님요) 1 페이지 / 전적]

하늘로 날아 올라감.

비승비속(非僧非俗)[몽별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승려도 아니고 속인도 아니라는 뜻으로, 이것도 저것도 아닌 어중간함을 이르는 말.

비승비속(非僧非俗)[몽별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승려도 아니고 속인도 아니라는 뜻으로, 이것도 저것도 아닌 어중간함을 이르는 말.

비승비속(非僧非俗)[봉별가 40 페이지 / 전적]

중도 아니고 속인도 아니라는 뜻으로, 이것도 저것도 아닌 어중간함을 이르는 말.

비시(非兕)[송강집(松江集三)3 22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가 진채(陳蔡)의 사이에서 곤액(困厄)을 겪은 때의 노래임

비신비군(非臣非君)[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5 페이지 / 전적]

신하도 아니고 임금도 아님.

비실(婢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5 페이지 / 전적]

「婢膝」 ― 奴顔婢膝의 畧稱인데 卑屈한 行動으로써 媚悅을 구한다는 뜻임. 陸龜蒙詩에 「奴顔婢膝眞乞丐 反以正直爲狂癡」라하였음.

비심(悲心)[칠여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슬픈 마음.

비심(非心)[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6 페이지 / 전적]

나쁜 마음.

비심(非心)[조심가라 19 페이지 / 전적]

나쁜 마음.

비심(非心)[조심가라 19 페이지 / 전적]

나쁜 마음.

비아상화(飛鴉相和)[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8 페이지 / 전적]

갈매기가 산아래서 나는 모양.

비애(悲哀)[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7 페이지 / 전적]

슬퍼하고 서러워 함.

비야(比也)[흥비가 7 페이지 / 전적]

비유와 은유, 암시와 풍자로 주제를 표현하는 것. 흥야(興也) : 먼저 다른 사실을 인용하여 말한 다음에 본래의 의도를 드러내는 방법.

비야(鄙野)[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5 페이지 / 전적]

문화 수준이 낮은 시골구석.

비야흥야(丕也興也)[흥비가 8 페이지 / 전적]

비야흥야(比也興也)의 잘못인 듯함.

비야흥야(比也興也)[흥비가 6 페이지 / 전적]

비야 흥이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