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비양[두껍전이라(겁젼이라) 24 페이지 / 전적]

얄미운 태도로 빈정거림.

비양[반졀퓨리 4 페이지 / 전적]

얄미운 태도로 빈정거림.

비양(飛揚)[사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잘난 체하고 까부는 것

비언(鄙言)[ 1 페이지 / ]

비어(鄙語). 점잖지 못하고 천한 말.

비언(鄙言)[자경별곡(自警別曲) 3 페이지 / 전적]

비어(鄙語). 점잖지 못하고 천한 말.

비연(賁然)[환무자탄가 32 페이지 / 전적]

빛나서 환함.

비연(飛燕)[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1 페이지 / 전적]

「飛燕」―바로 趙飛燕으로 成陽侯의 女인데, 어려서부터 歌舞를배웠다. 成帝는 微行하여 만나보고서 몹시 즐거워하여 그 누이마저 불러들여 함께 倢仔를 삼아 龐愛가 後宮에 제일갔다. 뒤에, 許后가 廢하자 飛燕을 세워 后를 삼고 그 누이를 昭儀로 삼으니, 姉妹가 十餘年을 擅權하면서 日後로 帝를 蠱惑하여 결국 暴疾로 崩하였다. 平帝初에 廢하여 庶人이 되자, 自殺하였음.

비연(飛燕)[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3 페이지 / 전적]

「趙飛燕」- 漢成帝의 后요 成陽侯 臨의 女인데, 어려서부터 家舞를 배웠다. 帝가 微行하다가 보고 좋아하여 아울러 그 妹까지 불러들어 倢伃를 삼아서 괴임이 宮에 으뜸갔다. 許后가廢함을 보자 세워 后로 삼았으며 寵愛를 독차지한 十餘年에日夜로 蠱惑하여 帝를 暴疾로 崩하게 만들었다. 당시에「燕飛來 啄王孫」이라는 童가 떠돌았음.

비옥가봉(比屋可封)[관동별곡 14 페이지 / 전적]

‘즐비한 집들 모두 벼슬을 봉할 만하다’는 의미. 요순시대의 백성이 모두 착해서 집집마다 벼슬을 줄 만하였다는 것으로서, ‘태평성대’와 상통하는 말.

비원(秘苑)[셔유곡 11 페이지 / 전적]

서울 창덕궁 북쪽 울안에 있는 최대의 궁원(宮苑). 임금의 소풍과 산책에 사용한 후원으로 창경궁과 붙어 있으며, 울창한 숲 속 곳곳에 운치 있는 정자와 연못이 있음.

비월(飛越)[창덕가2 103 페이지 / 전적]

몸을 날려 위를 넘음.

비월(飛越)[창덕가2 104 페이지 / 전적]

몸을 날려 위를 넘음.

비위(脾胃)[교훈가 5 페이지 / 전적]

아니꼽고 싫은 일을 잘 견디는 힘.

비위맥(脾胃脈)[소상팔경가 15 페이지 / 전적]

위에 흐르는 맥.

비유(卑幼)[지효가(知孝歌) 10 페이지 / 전적]

항렬이 낮은 사람과 나이 어린 사람을 아울러 이르는 말.

비유(卑幼)[효행가(孝行歌) 2 페이지 / 전적]

항렬이 낮은 사람과 나이 어린 사람을 아울러 이르는 말.

비유왕(毘有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0 페이지 / 전적]

백제 제20대 왕(?~455). 중국 남조(南朝) 송나라와 왕래하였으며, 동왕 7년(433)에는 신라와 화친하는 등 국제 외교를 통한 친선에 힘썼다.

비육불포(非肉不飽)[백발가(白髮歌) 2 페이지 / 전적]

고기를 먹지 아니하면 배가 부르지 아니하다는 뜻으로, 늙은이가 쇠약해진 지경을 이르는 말.

비육불포(非肉不飽)[백발가(白髮歌) 4 페이지 / 전적]

고기를 먹지 아니하면 배가 부르지 아니하다는 뜻으로, 늙은이가 쇠약해진 지경을 이르는 말.

비육불포(非肉不飽)[효행가(효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고기를 먹지 아니하면 배가 부르지 아니하다는 뜻으로 늙은이가 쇠약해진 지경을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