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비육불포(非肉不飽)[로인가 4 페이지 / 전적]
반찬이 나빠서 배불리 먹을 수 없다는 뜻.
비육불포(非肉不飽)[효행가(효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고기를 먹지 아니하면 배가 부르지 아니하다는 뜻으로 늙은이가 쇠약해진 지경을 이르는 말.
비은(費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22 페이지 / 전적]
「費隱」- 中庸에 『君子之道 費而隱』이란 대문이 있고, 그 註에 「費는 用의 廣이요 隱은 體의 微이라」하였음.
비응방수(飛鷹放手)[그리져리구경하고 5 페이지 / 전적]
매를 날리며 손을 벌림.
비익조(比翼鳥)[쌍옥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암컷과 수컷의 눈과 날개가 하나씩이어서 짝을 짓지 아니하면 날지 못한다는 전설상의 새. 남녀나 부부 사이의 두터운 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비인(匪人)[송강집(松江集五)5 30 페이지 / 전적]
불구자 또는 소인을 이름. 杜詩에「足跛非全人 不可爲宗主」
비인(非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3 페이지 / 전적]
「非人」―그 사람이 아니라는 말임.易 北의 六三에「比之匪人」이라 했는데 本義에 「陰柔不中正 承乘應 皆陰 所比皆非其人之象」이라 하였음.
비인간지오복(備人間之五福)[거창가라 6 페이지 / 전적]
상량문에 주로 쓰이는 글.오복(五福)은 보통 수(壽),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을 이르는데, 유호덕과 고종명 대신 귀(貴)함과 자손이 중다(衆多)함을 꼽기도 함.즉 '인간의 오복을 갖춤이라'의 의미.
비인간지오복(備人間之五福)[아림가(娥林歌) 6 페이지 / 전적]
상량문에 주로 쓰이는 글. 오복(五福)은 보통 수(壽),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을 이르는데, 유호덕과 고종명 대신 귀(貴)함과 자손이 중다(衆多)함을 꼽기도 함. 즉 '인간의 오복을 갖춤이라'의 의미.
비인력지소치(非人力之所致)[부부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의 힘으로 이를 바가 아님.
비인처사(鄙吝處事)[명륜가(明倫歌) 28 페이지 / 전적]
구두쇠처럼 일을 처리함.
비일비재(非一非再)[추월감 5 페이지 / 두루마리]
같은 현상이나 일이 한두 번이나 한둘이 아니고 많음.
비일비재(非一非再)[해몽가라(몽가라) 18 페이지 / 전적]
같은 현상이나 일이 한두 번이나 한둘이 아니고 많음.
비일젹에[소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빌 적에. 얻으려고 사정할 적에.
비자(婢子)[권왕가 58 페이지 / 전적]
계집종. 삼생(三生) : ① 화엄종에서 부처가 되는 세 단계. 곧, 견문생(見聞生) ․ 해행생(解行生) ․ 증입생(證入生). ② 전생(前生) ․ 현생(現生) ․ 후생(後生)을 아울러 이르는 말.
비자(婢子)[경명가(敬命歌) 8 페이지 / 전적]
계집종. 또는 계집종의 몸에서 난 아들.
비자(婢子)[광애가(廣愛歌) 2 페이지 / 전적]
계집종. 또는 계집종의 몸에서 난 아들.
비자(婢子)[자소가(소가) 3 페이지 / 전적]
계집종. 또는 여자가 자신을 낮추어 일컫는 말.
비자(比子)[녁대가(녁가) 17 페이지 / 전적]
비간(比干)을 가리킴.
비장[팔역가(八域歌) 11 페이지 / 전적]
감사 등을 보좌하던 하급 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