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금와왕(金蛙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8 페이지 / 전적]
고구려 동명성왕 설화에 등장하는 동부여의 왕. 늙도록 자식이 없어 산천에 기도하며 정성을 들이던 부여왕 해부루가 어느날 곤연 못가의 큰 돌 밑에서 금빛으로 빛나는 개구리 모양의 아이를 발견하여 이렇게 이름지었다. 자라서 태자가 되고, 해부루를 이어 부여의 왕이 되었다.
금욕(衾褥)[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8 페이지 / 전적]
이불과 요.
금우앙산(金牛仰山)[초암가 3 페이지 / 전적]
금우와 앙산 모두 당나라 시대의 유명한 선사(禪師)임.
금원(禁苑)[제면암최선생익현동업기비봉 2 페이지 / 전적]
내원(內苑). 대궐 안의 동산. 본 가사의 본문에서는 ‘禁院’이라 하였음.
금위(禁衛)[로인가 12 페이지 / 전적]
고려ㆍ조선 시대에, 궁중을 지키고 임금을 호위ㆍ경비하던 친위병. 금군(禁軍)과 같은 말.
금위대장(禁衛大將)[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5 페이지 / 전적]
금위영(禁衛營)의 주장(主將).
금은 옥백(金銀玉帛)[권왕가 39 페이지 / 전적]
금과 은과 옥과 비단 등 온갖 귀중한 것. 탐심(貪心) : 앞에 든 각주 364 참조.
금은 옥백(金銀玉帛)[자경별곡 17 페이지 / 전적]
금,은,옥,비단 따위의 귀한 보물.
금은 옥백(金銀玉帛)[권학가 2 페이지 / 전적]
금,은,옥,비단 따위의 귀한 보물.
금은봉채(金銀鳳釵)[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9 페이지 / 전적]
금은으로 된 봉황의 그림을 새긴 비녀.
금은옥백(金銀玉帛)[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5 페이지 / 전적]
금은보화와 고급 비단 옷.
금은옥백(金銀玉帛)[백발가(白髮歌) 9 페이지 / 전적]
금은보화와 옥 그리고 비단.
금은전백(金銀錢帛)[화엄결사권연가라 10 페이지 / 전적]
금전과 베를 통틀어 하는 말.
금을 내어[종매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구분하다는 뜻.
금음(琴音)[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거문고 소리.
금음(琴音)[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거문고 소리.
금음夜(야)의 水(수)대기[정종대왕권학가(正宗大王勸學歌) 12 페이지 / 전적]
그믐밤의 물대기.
금음夜(야)의 水(수)대기[인택가(仁宅歌) 1 페이지 / 전적]
그믐밤의 물대기.
금의(錦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 페이지 / 전적]
「錦衣」-富貴者의 衣服임. 史記項羽傳에「富貴而不歸故鄕 如衣錦夜行」이라는 말이 있으므로 後人이 무릇 顯達하여 고향에 돌아가는 것을 錦衣還鄕이라 칭하였음.
금의(錦衣)[츅친서라 2 페이지 / 전적]
비단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