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금의공자(金衣公子)[셔유곡 12 페이지 / 전적]

‘꾀꼬리’가 노란색인 데서, ‘꾀꼬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의공자(金衣公子)[고분가 12 페이지 / 전적]

꾀꼬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의공자(金衣公子)[고분가 12 페이지 / 전적]

꾀꼬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의옥색[남은곡 권지단이라 6 페이지 / 전적]

금의옥식(錦衣玉食). 호화스럽고 사치스러운 의식(衣食).

금의옥식 싸여[효봉구고치산가 10 페이지 / 전적]

금의옥식(錦衣玉食) 싸여있어. 친정집이 부자였기 때문에 좋은 옷과 음식이 많이 있었다는 말.

금의옥식(錦衣玉食)[오륜가라 20 페이지 / 전적]

비단옷과 흰 쌀밥이라는 뜻으로, 호화스럽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이르는 말.

금의옥식(錦衣玉食)[복션화음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비단옷과 흰쌀밥이라는 뜻으로, 사치스럽고 호강스러운 생활을 이름.

금의옥식(錦衣玉食)[복션화음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비단옷과 흰쌀밥이라는 뜻으로, 사치스럽고 호강스러운 생활을 이름.

금의옥식(錦衣玉食)[김씨효행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비단옷과 흰쌀밥이라는 뜻으로, 호화스럽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이르는 말.

금의옥식(錦衣玉食)[오륜가라 14 페이지 / 전적]

비단옷과 흰쌀밥이라는 뜻으로, 호화스럽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이르는 말.

금의옥식(錦衣玉食)[가사소리 14 페이지 / 전적]

비단옷과 흰쌀밥이라는 뜻으로, 호화스럽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이르는 말.

금의옥식(錦衣玉食)[오륜가라 15 페이지 / 전적]

비단 옷 입고 맛있는 음식을 먹음. 의식(衣食)의 사치스러움을 비유할 때 쓰는 말.

금의옥식(錦衣玉食)[오륜가라 15 페이지 / 전적]

비단 옷 입고 맛있는 음식을 먹음. 의식(衣食)의 사치스러움을 비유할 때 쓰는 말.

금의옥식(錦衣玉食) 싸여길너[복션화음록 9 페이지 / 전적]

좋은 옷 맛있는 음식을 쌓아두고 자랐는데.

금의주행(錦衣晝行)[청춘사연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금의환향(錦衣還鄕)과 같은 말.

금의화동(錦衣花童)[옥셜화답 11 페이지 / 전적]

화려한 비단 옷으로 꾸민 아이.

금의환향(錦衣還鄕)[자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출세를 하여 고향에 돌아가거나 돌아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의환향(錦衣還鄕)[자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출세를 하여 고향에 돌아가거나 돌아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의환향(錦衣還鄕)[추월감 5 페이지 / 두루마리]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출세를 하여 고향에 돌아가거나 돌아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의환향(錦衣還鄕)[회경가 15 페이지 / 전적]

과거에 급제하여 의기양양하게 고향으로 돌아오는 것을 말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