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금의환향(錦衣還鄕)[무제(▩▩▩▩) 13 페이지 / 두루마리]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출세하여 고향에 돌아가거나 돌아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의환향(錦衣還鄕)[해방후환히락가(방후환히락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출세를 하여 고향에 돌아가거나 돌아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의환향(錦衣還鄕)[해방후환히락가(방후환히락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출세를 하여 고향에 돌아가거나 돌아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의환향(錦衣還鄕)[무제(▩▩▩▩) 13 페이지 / 두루마리]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출세하여 고향에 돌아가거나 돌아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의환향(錦衣還鄕)[경노의심곡 10 페이지 / 두루마리]
벼슬을 하거나 크게 성공하여 고향에 돌아오다. 또는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벼슬을 하거나 크게 성공하여 고향에 돌아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의환향(錦衣還鄕)[신힁가라 22 페이지 / 전적]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출세를 하여 고향에 돌아가거나 돌아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의환향(錦衣還鄕)[시절가 28 페이지 / 전적]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출세를 하여 고향에 돌아가거나 돌아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의환향(錦衣還鄕)[회혼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출세를 하여 고향에 돌아가거나 돌아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이 뜨자 가마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31 페이지 / 전적]
「金鳥」-太陽의 別名임. 햇속에 金色의 三足鳥가 있다는 說이 春秋元命苞에 나타나 있고 또 淮南子에 踆鳥라 일렀음.
금인[팔역가(八域歌) 6 페이지 / 전적]
여진족이 세운 금나라
금인(金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6 페이지 / 전적]
「金人入夢」―佛을 말함. 後漢書 西域傳에『明帝가 꿈에 金人을 보니 長大하고 이마에 光明이 있었다. 그래서 羣臣들에게 물으니, 或은 말하기를「西方에 神이 있어 이름은 佛이요 그 形의 長이 丈六尺이며 黃金色이다」』하였음.
금인(金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3 페이지 / 전적]
「金人入夢」- 金人은 부처를 말함. 通鑑에「初帝聞西域有神 其名曰佛 因遺使之天竺 求其道得其書及沙門以來」라 하였음. 佛道가 中國에 渡來한 것이 이때가 처음임.
금인결교위세리(今人結交爲勢利)[명륜가(明倫歌) 103 페이지 / 전적]
오늘날 사람은 친구를 사귐에 형세와 이익을 위함.
금인풍속(今人風俗)[계녀사라 12 페이지 / 전적]
오늘날 사람들의 풍속.
금일(今日)[외손별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오늘.
금일(今日)[나웅하상토굴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오늘.
금일길(今日吉)[길자가(吉字歌) 3 페이지 / 전적]
오늘의 길(吉)함.
금일길(今日吉)[정도선림하정씨가(正道仙林下鄭氏歌) 1 페이지 / 전적]
오늘의 길(吉)함.
금일수양 생좌주(今日垂楊 生左肘)[백발가 5 페이지 / 전적]
오늘의 수양버들에서 왼쪽 팔꿈치를 베고 누워있음.
금일화(今日花)[답사향곡(답향곡) 8 페이지 / 전적]
오늘 핀 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