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금정(金井)[자치가 20 페이지 / 전적]
묘를 쓰기 위하여 판 구덩이.
금정(金正)[고분가 13 페이지 / 전적]
가을의 신(神).
금정(金正)[고분가 13 페이지 / 전적]
가을의 신(神).
금정(金井[인여가(引轝歌) 9 페이지 / 전적]
뫼를 쓰기 위하여 판 구덩이.
금정(金井[인여가(引轝歌) 9 페이지 / 전적]
뫼를 쓰기 위하여 판 구덩이.
금정(金井[인여가(引轝歌) 9 페이지 / 전적]
뫼를 쓰기 위하여 판 구덩이.
금정상[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0 페이지 / 전적]
금씨 성을 가진 정승(政丞)을 말함.
금조(今朝)[옥셜화답 12 페이지 / 전적]
오늘 아침.
금조봉접이[화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금조(禽鳥)는 날짐승과 새들이고 봉접(蜂蝶)은 벌과 나비이다
금존미주(金樽美酒) 만반주효(滿盤酒肴)[칠녀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좋은 술잔에 담긴 좋은 술, 상을 가득 채운 슬과 안주.
금종(金宗)[석천집(石川集二-四)2-4 113 페이지 / 전적]
달빛을 형요한 말인 듯.
금주(錦州)[연행별곡(연별곡) 15 페이지 / 전적]
중국 요녕성 서부.
금주월매(琴酒月梅)[충효가(忠孝歌) 9 페이지 / 전적]
거문고와 술, 달과 매화. 풍류를 즐기기 위한 도구나 소재들을 말함.
금준(金樽)[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9 페이지 / 전적]
금으로 만든 술동이.
금준(金樽)[감별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금으로 만든 것과 같은 좋은 술통.
금준(金樽)[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5 페이지 / 두루마리]
금으로 만든 술통. 화려하게 만든 술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준(金樽)[상사가라 5 페이지 / 전적]
화려한 술잔.
금줄[말이타국원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금실로 꼬아 만든 줄.
금지도벽(禁地塗壁)[갑지녹이라 12 페이지 / 전적]
일반의 출입을 금지하는 땅. 벽에 종이나 흙을 바름.
금지옥엽(金枝玉葉)[흥남세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가장 귀중한 물건을 이르는 말이다. 부모와 자식은 부모는 나무로, 자식은 가지나 잎으로 각각 비유한다. 예를 들면 속담 중에 ‘가지 많은 나무에 바람 잘 날 없다’는 뜻은 자식이 많은 부모에게는 걱정, 근심이 끊일 날이 없다는 뜻으로 쓰인다. 한자를 그대로 풀이하면, 금으로 만든 가지와 옥으로 만든 나뭇잎을 지칭하는 말로, 본래는 임금의 가족이나 자손들을 가리키는 존칭의 말로 쓰였고, 일반적으로 귀엽고 귀하게 여기는 자손을 지칭하는 말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