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금풍삽이석기(金風霎而夕起) 옥우확이쟁영(玉宇廓而崢嶸)[사친가1(思親歌(一)) 8 페이지 / 전적]

‘저녁이면 어느 사이 가을 바람 불어오고, 하늘의 옥우는 넓고도 쟁영하다.’는 뜻. 이곳 표제의 ‘廓而崢嶸)’은 이에 대한 가사 원문의 표기에 ‘郭而錚暎’으로 되어 있음. 금풍(金風) : 오행(五行)에서 가을은 금(金)에 해당한 데서 ‘갈바람’을 달리 이르는 말. 옥우(玉宇) : 천제(天帝)가 있는 곳. 곧, 하늘. 또는, 매우 화려하고 웅장한 전각. 쟁영(崢嶸) : 높고 가파름. 또는, 깊고 위험함.

금할소냐[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9 페이지 / 전적]

막을 수 있을소냐.

금헌琴軒[ 1 페이지 / ]

거문고가 있는집, 거문고 소리가 나는 집.

금화(金華)[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0 페이지 / 전적]

「金華」- 殿의 이름임。漢成帝時에 鄭寬中, 張禹가 朝夕으로 殿中에 들어와 尙書와 論語를 講하였음。玉署는 玉堂을 稱함.

금화양로를 여섯 마리 자라가 기뻐하네[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43 페이지 / 전적]

미상함

금화전(金華殿)[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65 페이지 / 전적]

「金華」-金華殿인데 대궐을 말함. 漢나라 未央宮에 金華殿이 있어, 成帝時에 鄭寬中 張禹가 朝夕으로 殿中에 들어와 尙書 論語를 說하였음.

금환(金丸)[구쟉가 9 페이지 / 전적]

금칠을 한 공을 몸과 팔을 휘두르면서 공중으로 놀리는 모양을 달과 별에 견주어 노래하며 노는 놀이.

금환(錦還)[화엄결사권연가라 10 페이지 / 전적]

금의환향(錦衣還鄕)의 준말.

금환향(錦還鄕)[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3 페이지 / 두루마리]

금의환향(錦衣還鄕)이라는 뜻으로 성공하여 고향에 돌아옴.

금환향(錦還鄕)[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3 페이지 / 두루마리]

금의환향(錦衣還鄕)이라는 뜻으로 성공하여 고향에 돌아옴.

급 장유(汲長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7 페이지 / 전적]

「汲長孺」- 汲黯의 字임.

급(伋)[석천집(石川集二-一)2-1 75 페이지 / 전적]

孔子의 孫 子思이니 衛侯가 자꾸 鼎肉을 보내자 자꾸만 拜受를 하다가 나중에는 노하여 물리치며 犬馬처럼 伋을 기른다고 했다

급격물실(急擊勿失)[거사가 4 페이지 / 전적]

급히 쳐서 때를 놓치지 않음.

급고원(給孤園)[석천집(石川集二-五)2-5 144 페이지 / 전적]

급고독원(給孤獨園)의 약칭. 승원(僧園)을 뜻함.

급급(汲汲)[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7 페이지 / 전적]

쉬지 않고 힘쓰는 모양. 조급히 하려고 서두르는 모양.

급급(汲汲)[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7 페이지 / 전적]

쉬지 않고 힘쓰는 모양. 조급히 하려고 서두르는 모양.

급급구료(急急求療)[회경가 19 페이지 / 전적]

병을 고치기 위해 매우 급함

급급[용문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급급(急急)한. 조급한. 어떤 일에 정신을 쏟아 마음의 여유가 없다.

급기(及其)[뎡슝샹회방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마침내(드디어 마지막에는).

급수(汲水)[일회심곡(一回心曲) 6 페이지 / 전적]

물을 길어옴.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