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참마검(斬馬劒)[송강집(松江集五)5 135 페이지 / 전적]
한(漢)나라 때의 보검(寶劍)으로 말을 벨 만한 예리한 칼. 漢書 朱雲傳에 「願賜借尙方斬馬劍斷佞臣一人頭以厲基餘」
참마항[팔역가(八域歌) 23 페이지 / 전적]
김유신이 무심코 천관사로 가는 자기 말을 베어 죽였다 함
참망(僭妄)[의향소창가 12 페이지 / 전적]
참람하고 망령됨, 분수를 모르고 건방짐.
참망(僭妄)[리행소챙가 7 페이지 / 전적]
참람하고 망령됨, 분수를 모르고 건방짐.
참바[북쳔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삼의 껍질이나 칡 등으로 세 가닥을 지어 굵게 드리운 줄.
참바[소상팔경가 10 페이지 / 전적]
볏짚.
참바[북쳔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삼이나 칡 따위로 세 가닥을 지어 굵다랗게 드린 줄.
참바[자치가 11 페이지 / 전적]
볏짚.
참방(參榜)[송강집(松江集三)3 38 페이지 / 전적]
과거에 합격한 자의 명단을 기록한 것이 방(榜)인데 여기에 참여가 되었다는 것.
참방(參榜)[자치가 8 페이지 / 전적]
과거에 급제하여 이름이 방목(榜目)에 오르던 일.
참방절조(參榜節操)[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0 페이지 / 전적]
참방은 과거시험에 합격한 방목에 이름이 기재되어 실리는 것을 말함. 절조는 품위 있고 아름답다는 정도의 뜻으로 쓰임.
참배[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9 페이지 / 전적]
먹을 수 있는 보통의 배를, 똘배·문배에 대하여 일컫는 말.
참봉(參奉)[효자가 4 페이지 / 전적]
효자 전우창의 고조인 불훤당(不諼堂) 전경연(全景淵). 효행으로 정릉참봉(定陵參奉)에 천거되었다.
참봉(參奉)[한양가라 47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의 종구품 벼슬. 능(陵), 원(園), 종친부, 돈녕부, 봉상시, 사옹원, 내의원, 군기시 등에 두었다.
참사(參祀)[남은곡 권지단이라 18 페이지 / 전적]
제사에 참례함.
참사(叅辭)[송강집(松江集三)3 90 페이지 / 전적]
참신(叅神)과 사신(辭神)을 이름.
참사(慘死)[제주여행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참혹하게 죽음.
참사검명 (斬蛇劒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2 페이지 / 전적]
「斬蛇劒」-史記 高祖本紀에『高祖가 술을 취토록 마시고 밤에澤中을 지날 적에 한 사람을 시켜 앞서 가보라 했는데, 그 사람이 돌아와 보고하기를 「大蛇가 길을 막고 있으니 다른 길로 가자고 하자, 高祖는 醉中에 말하기를「壯士가 가는데 무엇이 두려우냐」하고서 바로 나가 칼을 뽑아 大蛇를 쳐 두 도막을 만들었다」』라 하였음。여기 斬蛇劒은 이를 글제로 삼아 銘을 지은 것임
참살(慘殺)[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7 페이지 / 전적]
참혹하게 죽임.
참상(參上)[로인가 12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둔, 육품 이상 종삼품 이하의 벼슬. 조회(朝會)에 참석할 수 있으며, 목민관으로서 지방민을 다스릴 수 있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