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창도(唱導)[초한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일을 앞장서서 주장하고 부르짖어 사람들을 이끌어 나감.
창두(蒼頭)[답사향곡(답향곡) 3 페이지 / 전적]
종살이를 하는 남자.사내종.
창두사환(蒼頭使喚)[칠녀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노복(奴僕)과 사환(使喚).
창락(蒼落)[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늙어 시들어 떨어짐.
창랑(滄浪)[송강집(松江集五)5 137 페이지 / 전적]
물 이름으로 인간의 화복(禍福)을 스스로 취하는 데 비유함. 孟子 離婁篇에「有孺子歌曰滄浪之水淸兮可以濯我纓滄浪之水濁兮可以濯我足」
창랑(滄浪)[송강집(松江集七)7 113 페이지 / 전적]
성문준(成文濬)의 호(號)
창랑가(滄浪歌)[사친가1(思親歌(一)) 6 페이지 / 전적]
중국 초(楚)나라의 굴원(屈原)이 지은 <漁父辭)>를 두고 이름. 그 내 용에서 “乃歌曰 滄浪之水淸兮 可以濯吾纓 滄浪之水濁兮 可以濯吾足”(이에 노래에 이르되 창랑의 물이 맑거든 내 갓끈을 씻고, 창랑의 물이 흐리거든 내 발을 씻으리라.)라 함 에서 연유한 별칭이다. ‘滄浪’은 곧 중국 양자강(揚子江)의 지류인 한수(漢水) 강의 일부분의 별명임.
창랑곡(滄浪曲)[송강집(松江集一)1 71 페이지 / 전적]
孟子에 「滄浪之水淸兮 可以濯我足」이라 하였음.
창랑자취(滄浪自取)[권학가 8 페이지 / 전적]
칭찬을 받거나 욕을 먹거나, 모두가 자기 할 탓이라는 말.
창랑지수(滄浪之水)[옥산가라 54 페이지 / 전적]
굴원(屈原)의 ‘초사(楚辭)’ 중에 나오는 ‘어부’의 한 구절.
창려[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3 페이지 / 전적]
「昌黎三上書」―昌黎 韓愈는 二十五歲時에 이미 進士에 登第하였으나 아직 出仕를 못했기 때문에, 當時 宰相에게 進路를 求함이 이와 같이 간절하였다.
창려(昌黎)[송강집(松江集二)2 183 페이지 / 전적]
한유(韓愈)를 창여백(昌黎伯)에 봉하였다.
창렬사[팔역가(八域歌) 30 페이지 / 전적]
최경회, 김천일, 황진, 장윤, 이의정 등 5현을 배향한 사당
창로기악(彰露其惡)[명륜가(明倫歌) 22 페이지 / 전적]
그 악함을 드러냄.
창룡(蒼龍)[ 1 페이지 / ]
청룡 혹은 늙은 용을 말함.
창름실이지예절(倉廩實而知禮節)[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3 페이지 / 전적]
창고에 곡식이 가득차면 예절을 알게되고
창름실이지예절(倉廩實而知禮節)[호남가라 1 페이지 / 전적]
창고에 곡식이 가득차면 예절을 알게되고
창릉[팔역가(八域歌) 51 페이지 / 전적]
개성에 고려 세조의 창릉이 있음
창릉(昌陵)[한양가라 55 페이지 / 전적]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서오릉의 하나로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의 묘.
창림벽계(蒼林碧溪)[사시풍경가라 7 페이지 / 전적]
푸른 숲과 물빛이 맑아 푸른 빛이 도는 계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