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참요(讖謠)[리행소챙가 43 페이지 / 전적]
예언이나 은어의 형식으로 나타난 노래.
참을 안다[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25 페이지 / 전적]
「傷虎知眞」-大學或問 에 『예전에 어느 좌상에서 범이 사람을 상했다는 이야기를 하는 자가 있어 여럿이 다 들었는데 그 중의 한사람이 유독 神色이 藥하므로 그 이유를 물은즉 그는 바로 범에게 傷했던 사람이었다 무릇 범이 사람을 상한다는 것쯤은 누구나 다 아는 일이지만 듣고도 두려워하는 자와 두려워 하지 않는 자가 있는것은 앎이 眞과 不眞이 있는 까닭이다』라 하였음。이는 程伊川의 말임。
참의(參議)[옥셜화답 12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육조(六曹)에 둔 정삼품 벼슬.
참의(參議)[동상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시대 육조(六曹)에 소속되었던 정3품 당상의 문관 벼슬. 정원은 각 1인씩임. 이들은 각 조의 차차석 관원으로 참판과 함께 판서를 보좌하는 좌이관(佐貳官)이었음. 지금의 차관보에 해당함.
참작(參酌)[종매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이리저리 헤아림.
참절(僭竊)[황남별곡(黃南別曲) 24 페이지 / 전적]
분에 넘치는 자리를 가짐.당치 않은 고위(高位) 관직(官職) 자리에 있음.
참지(參知)[거취가(去取歌) 4 페이지 / 전적]
(다른 사람이) 간여하여 알게 함.
참찬(參贊)[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11 페이지 / 전적]
「參贊」- 天地의 化育을 도와서 天地와 더불어 並入하여 셋이될 수 있는 말임. 中庸에「贊天地之化育 則可以與天地參矣」라하였음.
참창(攙搶)[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0 페이지 / 전적]
「攙搶」―彗星을 말함.史記天官書에는 攙槍로 되어있는데 역시 通用하고 있음.
참천(參天)[북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공중으로 높이 솟음.
참천(參天)[운청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나무가 하늘을 찌를듯이 울창함.
참천參天[ 1 페이지 / ]
공중에 높이 솟아 늘어짐
참초(儳剿)[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74 페이지 / 전적]
「儳剿」-다른사람의 말이 끝나기 전에 가로채 말하는 것을 이름
참최제(斬衰制)[송강집(松江集三)3 79 페이지 / 전적]
상복(喪服) 아래 가를 접어서 꿰메지 않은 것을 참쇠(斬衰)라 하고 꿰멘 것을 재쇠(齋衰)라 이름. 儀禮에「斬者何不緝也齋者何緝也」
참최지상(斬衰之喪)[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8 페이지 / 전적]
참최의 상. 즉 아버지나 할아버지의 상(喪). 참최는 아버지나 할아버지의 상을 당했을 때 입는 상복을 가리킴.
참치[ 1 페이지 / ]
길고 짧거나 들쭉날쭉 하여 같지 않음
참통지원(慘痛之怨)[경노의심곡 12 페이지 / 두루마리]
참혹하고 괴롭고 원망스러움.
참판(參判)[동상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시대 육조(六曹)에 소속되었던 종2품의 관직. 정원은 각 1인씩이며 판서(判書) 다음가는 벼슬임. 육조의 장관인 판서를 정경(正卿)이라한 데 대하여 차관으로서 아경(亞卿)이라 하였음.
참혹(慘酷)[자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비참하고 끔찍함.
참혹(慘酷)[일회심곡(一回心曲) 9 페이지 / 전적]
비참하고 끔찍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