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참혹(慘酷)[옥산가라 25 페이지 / 전적]

비참하고 끔찍함.

참혹(慘酷)[시절가 8 페이지 / 전적]

비참하고 끔찍함.

참회문(懺悔門)[권왕가 33 페이지 / 전적]

참회하고 죄를 없애기 위하여 세운 문. 참회(懺悔) : 자기의 잘못에 대하여 깊이 뉘우치는 것.

참흉(慘凶)[가사소리 22 페이지 / 전적]

비참하고 끔찍한 흉년.

찹감쥬[용문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찹살 감주(甘酒) 찹쌀로 만든 맛있는 술.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4 페이지 / 전적]

「茂叔草」―宋 周敦頤의 字는 茂叔이요 道州舂陵人인데 宋學의 祖임. 그는 일찌기 庭草를 不除하며 自家의 意思와 一般이라고 말한 일이 있음.

창 밖에 웅성 웅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58 페이지 / 전적]

「營營」-詩經 小雅 靑蠅『營營靑蠅 止于樊』의 句가 있는데註에『營營은 往來하는 飛聲이라』하였음.

창 비껴잡고 시를 짓는데[석천집(石川集二-二)2-2 21 페이지 / 전적]

소동파가 지은 <적벽부(赤壁賦)>에 ‘(조조가) 술을 걸르고 강가에 서서 창을 비껴잡고 시를 지으니 참으로 일세의 영웅이었다. [侍酒臨江, 橫槊賦詩, 固一世之雄也.]‘라는 구절이 있다.

창(氅)옷[사친가2(思親歌(二)) 4 페이지 / 전적]

소창(小氅)옷. 예전에, 중치막 밑에 입던 웃옷의 하나. 두루마기와 같되 소매 가 좁고 무가 없음.

창가(娼家)의 소부(笑婦)들아[상사별곡(상별곡) 10 페이지 / 두루마리]

창가소부(娼家笑婦)는 창기(娼妓)의 집에서 웃음을 파는 여자라는 뜻으로, ‘창녀’를 이르는 말.

창가(娼家)의 소부(笑婦)들아[상사별곡(상별곡) 10 페이지 / 두루마리]

창가소부(娼家笑婦)는 창기(娼妓)의 집에서 웃음을 파는 여자라는 뜻으로, ‘창녀’를 이르는 말.

창가소부 불수빈(娼家少婦 不須頻)[백발가 9 페이지 / 전적]

술집의 젊은 여인이 얼굴을 찡그리지 아니함.

창검(槍劍)[일회심곡(一回心曲) 3 페이지 / 전적]

창과 검을 아울러 이르는 말.

창검(槍劍)[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창과 검을 아울러 이름.

창겁(瘡怯)[구산가(求山歌) 5 페이지 / 전적]

상처가 날까 겁을 냄.

창경(??)[오륜가라 45 페이지 / 전적]

꾀꼬리.

창경(鶬鶊)[인가상자라(인샹라) 3 페이지 / 전적]

꾀꼬리.

창경(鶬鶊)[인가상자라(인샹라) 3 페이지 / 전적]

꾀꼬리.

창경(鶬鶊)[언어 근신이라 1 페이지 / 전적]

꾀꼬리.

창경원(昌慶苑)[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6 페이지 / 전적]

창경궁(昌慶宮)의 전 이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