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참상[상사곡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참 상사(常事). 참으로 일상적인 일.

참색단령(黲色團領)[송강집(松江集三)3 87 페이지 / 전적]

옷깃을 둥굴게 만든 공복(公服).

참색무안(慙色無顔)[리행소챙가 52 페이지 / 전적]

몹시 부끄러워 볼 낯이 없음.

참색복두〔黲幞頭〕[송강집(松江集三)3 87 페이지 / 전적]

두건(頭巾)의 일종. 후주 무제(後周武帝)가 처음 만들었음.

참소(讒訴)[오륜가라 32 페이지 / 전적]

남을 헐뜯어서 죄가 있는 것처럼 꾸며 윗사람에게 고하여 바침.

참소(讒訴)[안심가 11 페이지 / 전적]

남을 헐뜯어 없는 죄를 있는 것처럼 꾸며서 고해바침.

참소(讒訴)[고분가 26 페이지 / 전적]

남을 헐뜯어서 죄가 있는 것처럼 꾸며 윗사람에게 고하여 바침.

참소(讒訴)[고분가 26 페이지 / 전적]

남을 헐뜯어서 죄가 있는 것처럼 꾸며 윗사람에게 고하여 바침.

참소(讒訴)[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4 페이지 / 전적]

남을 헐뜯어서 없는 죄(罪)를 있는 듯이 꾸며 고해바치는 일.

참소(讒訴)[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9 페이지 / 전적]

남을 헐뜯어서 없는 죄(罪)를 있는 듯이 꾸며 고해 바치는 일.

참소(讒訴)[합강정가(合江亭歌) 8 페이지 / 전적]

남을 헐뜯어서 없는 죄(罪)를 있는 듯이 꾸며 고해바치는 일.

참소(讒訴)[연행별곡(연별곡) 29 페이지 / 전적]

남을 헐뜯어서 없는 죄(罪)를 있는 듯이 꾸며 고해 바치는 일.

참영(斬佞)[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2 페이지 / 전적]

「斬侫」-漢書 朱雲傳에『尙方斬馬劒을 빌려 侫臣의 머리를 끊기를 詩하므로 上 은「누구냐고」물으니 「安昌侯 張禹를 이름입니다」』라 하였음

참예(參預)[오윤가 14 페이지 / 전적]

참여(參與)과 같은 말로 어떤 일에 끼어들어 관계함.

참예(參預)[긔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참여(參與). 어떤 일에 끼어들어 관계함.

참예(參預)[옥산가라 34 페이지 / 전적]

참여(參與)(어떤 일에 끼어들어 관계함).

참예(參預)[거취가(去取歌) 8 페이지 / 전적]

참여.

참예(參預)[근부가(謹婦歌) 2 페이지 / 전적]

참여.

참예(參預)[셩경가 3 페이지 / 전적]

참여(參與).

참예(參預)[셩경가 3 페이지 / 전적]

참여(參與).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