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창애(蒼崖)[면앙정가(俛仰亭歌) 5 페이지 / 전적]
푸른 언덕.
창애蒼崖[ 1 페이지 / ]
푸른 언덕.
창양(搶攘)[옥산가라 49 페이지 / 전적]
몹시 혼란하고 어수선함.
창업(創業)[팔도안희가 3 페이지 / 전적]
태조 이성계의 조선 건국을 말한다.
창업(創業)[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나라나 왕조 따위를 처음으로 세움.
창업(創業)[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나라나 왕조 따위를 처음으로 세움.
창업(創業)[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나라나 왕조 따위를 처음으로 세움.
창업(創業)[자치가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나라를 세움.
창업(創業)[잣치가라(치라) 23 페이지 / 전적]
나라를 세움.
창업공덕(創業功德)[한양가라 8 페이지 / 전적]
나라를 처음 세우는데 쌓은 업적과 어진 덕.
창업지주(創業之主)[명륜가(明倫歌) 85 페이지 / 전적]
나라를 처음으로 세워 왕조를 연 임금.
창업지주(創業之主)[창덕가2 83 페이지 / 전적]
나라를 처음으로 세워 왕조를 연 임금.
창업지주(創業之主)[창덕가2 84 페이지 / 전적]
나라를 처음으로 세워 왕조를 연 임금.
창역조(倉役租)[거창가 28 페이지 / 전적]
창역가(倉役價)를 뜻하는데, 전세(田稅)를 징수할 때 창고에 들여쌓는 품삯의 명목으로 덧붙여 받던 세(稅).
창역조(倉役租)[거창가 28 페이지 / 전적]
창역가(倉役價)를 뜻하는데, 전세(田稅)를 징수할 때 창고에 들여쌓는 품삯의 명목으로 덧붙여 받던 세(稅).
창역조(倉役租)[아림가(娥林歌) 31 페이지 / 전적]
창역가(倉役價). 조선 말기에, 세미(稅米)를 창고에 넣는 삯으로, 원세에 덧붙여 받던 세(稅). 구실아치들이 부당하게 덧붙여 받았다.
창연(悵然)[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2 페이지 / 전적]
서운하고 섭섭함.
창연(悵然)[기원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몹시 서운하고 섭섭하게.
창연(悵然)[별한가 37 페이지 / 전적]
몹시 서운하고 섭섭함.
창연(悵然)한데[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2 페이지 / 전적]
슬퍼 상심스러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