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창옷(氅-)[남자답가라(남답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소창옷(예전에, 중치막 밑에 입던 웃옷의 하나).
창옹정(滄翁亭)[석촌별곡 14 페이지 / 전적]
작품 세주에 “ 창주 나무송의 휴식처이다(羅滄洲茂松杖屨所也)”라고 하였다. 송정순이 세워 외손인 나무송에게 물려준, 주위 경관이 매우 아름다운 물염정(勿染亭)을 말하는 듯하다.
창왕(昌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7 페이지 / 전적]
고려의 제33대 왕(1380~1389)으로 이름은 창(昌)이다. 우왕의 아들로, 1388년에 이성계 일파가 우왕을 내쫓은 후 왕위에 올랐으나, 다시 이성계에 의하여 강화로 쫓겨난 뒤 살해되었다. 재위 기간은 1388~1389년이다.
창왕(昌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9 페이지 / 전적]
고려의 제33대 왕(1380~1389)으로 이름은 창(昌)이다. 우왕의 아들로, 1388년에 이성계 일파가 우왕을 내쫓은 후 왕위에 올랐으나, 다시 이성계에 의하여 강화로 쫓겨난 뒤 살해되었다. 재위 기간은 1388~1389년이다.
창외(窓外)에[몽유가(몽류가) 2 페이지 / 전적]
창 밖에
창외(窓外)에[몽유가(몽류가) 2 페이지 / 전적]
창 밖에
창외오동(窓外梧桐)[청춘사연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창밖의 오동나무.
창운(昌運)[셔유곡 14 페이지 / 전적]
탁 트인 좋은 운수.
창울(悵鬱)[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4 페이지 / 두루마리]
몹시 서운하고 울적하다.
창울(悵鬱)[상사가라 4 페이지 / 전적]
몹시 서운하고 울적함.
창울(蒼鬱)[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6 페이지 / 전적]
빽빽하고 무성함. 물이 많음.
창울(蒼鬱)[추풍감곡(秋風感曲) 5 페이지 / 전적]
무성하고 푸르게 우거져 있음.
창울(蒼鬱)[차운 8 페이지 / 전적]
빽빽하게 무성함.
창유(窓牖)[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2 페이지 / 전적]
「窓牖」- 사람에게 비하여 쓴 말임.
창을 베개 삼았으며[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17 페이지 / 전적]
서릉의 「책진왕문」에 나오는 말로 침과상담枕戈嘗膽의 준말인데 부모의 원수를 갚고자 애쓰는 일.
창을……치노라[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38 페이지 / 전적]
식견이 뛰어난 것을 말함.《後漢書 卷三十五 鄭玄傳》에 ‘임성 (任城)하휴 (何休)가「공양 (公羊)」의 학문을 좋아하여 마침내 「공양묵수 (工羊墨守)」,「좌씨고황 (左氏膏肓)」,「곡량폐질 (穀梁廢疾)」을 저술하였는데, 정현이 「발묵수 (發墨守)」,「침고황 (鍼膏肓)」,「기폐질 (起廢疾)」을 지었다. 하유가 그 글을 보고 감탄하기를 ‘강성(康成)이 내 집에 들어와 내 창을 잡고서 나를 친단 말인가.‘ 하였다.‘ 하였음
창응(蒼鷹)[옥산가라 17 페이지 / 전적]
털색이 푸르고 흰 큰 매.
창의(倡義)[옥산가라 38 페이지 / 전적]
국난을 당하였을 때 나라를 위하여 의병을 일으킴.
창의록[팔역가(八域歌) 46 페이지 / 전적]
의병에 참여할 것을 호소하는 글
창일(漲溢)[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21 페이지 / 전적]
넘쳐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