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창힐(倉頡)[몽유가(몽류가) 4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제왕인 황제(黃帝) 때의 좌사(左史). 새와 짐승의 발자국을 본떠서 처음으로 문자를 만들었다고 함.
창힐(倉頡)[몽유가(몽류가) 4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제왕인 황제(黃帝) 때의 좌사(左史). 새와 짐승의 발자국을 본떠서 처음으로 문자를 만들었다고 함.
창힐(倉頡)[한흥가라 26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제왕인 황제(黃帝) 때의 좌사(左史). 새와 짐승의 발자국을 본떠서 처음으로 문자를 만들었다고 한다.
창힐(倉頡)[한흥가라 26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제왕인 황제(黃帝) 때의 좌사(左史). 새와 짐승의 발자국을 본떠서 처음으로 문자를 만들었다고 한다.
창힐(倉頡)[한흥가라 26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제왕인 황제(黃帝) 때의 좌사(左史). 새와 짐승의 발자국을 본떠서 처음으로 문자를 만들었다고 한다.
창힐(蒼頡)[로인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황제(黃帝) 때 사람으로 새의 발자국을 보고 글자를 생각해 내었다고 전해짐.
창힐(蒼頡)[한양가라 24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제왕인 황제(黃帝) 때의 좌사(左史)로 새와 짐승의 발자국을 본떠서 처음으로 문자를 만들었다고 한다.
창힐(蒼頡)[기원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제왕인 황제(黃帝) 때의 좌사(左史). 새와 짐승의 발자국을 본떠서 처음으로 문자를 만들었다고 함.
창한 엄성은[형제붕우소회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청아한 음성은. 맑은 음성은.
찾아와 문 두들기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36 페이지 / 전적]
「剝啄」―문 두들기는 소리. 韓愈의 剝啄行에 『剝剝啄啄 有客至門』이 있음.
채[오륜가라 5 페이지 / 전적]
어떤 상태나 동작이 다 되거나 이루어졌다고 할 만한 정도에 아직 이르지 못한 상태를 이르는 말.
채[가사소리 5 페이지 / 전적]
어떤 상태나 동작이 다 되거나 이루어졌다고 할 만한 정도에 아직 이르지 못한 상태를 이르는 말.
채(採)라하던[츅친서라 8 페이지 / 전적]
풀을 캐라고 하던.
채계통[석천집(石川集二-二)2-2 18 페이지 / 전적]
계통은 송나라 성리학자 채원정(蔡元定)의 자인데, 호는 서산선생이다. 주자를 찾아가 글을 배웠는데, 그의 학문이 뛰어나자 주자가 그를 제자로 대하지 않고 친구로 대하였다. 임포와 채원정을 내세운 것은 임억령이 자기와 채무일의 관계를 비유한 것이다.
채과(菜果)[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3 페이지 / 전적]
나물과 과일.
채광(彩光)[회혼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아름다운 색깔의 빛.
채근(採根)[명궁처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일을 서둘러서 하도록 재촉함.
채근목과(菜根木果)[교몽가 3 페이지 / 전적]
채근(菜根)은 식물의 뿌리를 캐냄.
채난(採暖)[여행록이라(여녹이라) 5 페이지 / 전적]
따뜻한 기운을 몸속에 빨아들임.
채단(綵緞)[오륜가라 23 페이지 / 전적]
온갖 비단을 통틀어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