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창천(蒼天)[답긔슈가 2 페이지 / 전적]

맑고 푸른 하늘.

창철(蒼喆)[백발가(白髮歌) 1 페이지 / 전적]

‘창힐(蒼頡)’을 잘못 쓴 것임.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제왕인 황제(黃帝) 때의 좌사(左史). 새와 짐승의 발자국을 본떠서 처음으로 문자를 만들었다고 한다.

창철(蒼喆)[백발가(白髮歌) 3 페이지 / 전적]

‘창힐(蒼頡)’을 잘못 쓴 것임.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제왕인 황제(黃帝) 때의 좌사(左史). 새와 짐승의 발자국을 본떠서 처음으로 문자를 만들었다고 한다.

창태(蒼苔)[구쟉가 16 페이지 / 전적]

푸릇푸릇한 이끼.

창파(滄波)[북쳔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넓은 바다의 푸른 물결.

창파(滄波)[고분가 11 페이지 / 전적]

넓고 큰 바다의 맑고 푸른 물결.

창파(滄波)[고분가 11 페이지 / 전적]

넓고 큰 바다의 맑고 푸른 물결.

창파(滄波)[회혼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넓고 큰 바다의 맑고 푸른 물결.

창파(滄波)[조선충효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푸른 물결.

창파(滄波)[답선유가라(답션뉴가리) 8 페이지 / 전적]

넓고 큰 바다의 맑고 푸른 물결.

창파(蒼波)[소상팔경가 29 페이지 / 전적]

푸른 물결.

창평(昌平)[호남가(湖南歌) 4 페이지 / 전적]

전남 담양군에 속하는 곳으로 처음에는 백제의 구자현이었다. 신라 경덕왕 때 신양현(新陽顯)으로 고쳐서 무주(武州), 광주(光州)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1895년에 군이 되고 1914년에 곡성군과 담양군으로 분리 흡수되었다.

창평(昌平)[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4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을 중심으로 1914년까지 있었던 군.

창평(昌平)[호남가라 2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을 중심으로 1914년까지 있었던 군.

창평현(昌平縣) 궐리촌(闕里村)[충효가 4 페이지 / 전적]

노(魯)나라 창평향 추읍(昌平鄕 鄒邑 : 지금의 산동성 曲阜의 남동), 공자가 태어난 마을.

창포(菖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25 페이지 / 전적]

「香蒲」-菖蒲를 말함. 歲時雜記에「端午날에는 菖蒲를 술에 띄워 마신다」라 했음.

창포(菖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24 페이지 / 전적]

「蒲艾」-歲時雜記에 의하면 端午日에는 菖蒲나 쑥을 캐서 묶어 人形을 만들어 문지개 위에 매달아 毒氣를 물리친다」하였음. 王沂公의 帖子에「明朝知是天中節 旋却菖蒲要辟邪」의 句가 있고 또「仙艾垂門綠 靈絲遶戶長」의 句가 있음.

창포술(菖蒲酒)[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25 페이지 / 전적]

「蒲酒」- 歲時雜記에 의하면「五月五日에는 菖蒲의 縷나 혹은 그 가루를 술에 띄워 마신다」라 하였음.

창포주 마시면서[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64 페이지 / 전적]

단오에 창포(菖蒲)를 자르거나 가루로 만들어서 술에 띄워 마신다는 말이 있다.《歳時記》

창포주(菖蒲酒)[화조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창포를 넣어 빚은 술. 단오에 마신다고 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