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채단(綵緞)[가사소리 23 페이지 / 전적]

온갖 비단을 통틀어 이르는 말.

채단(采緞)[두껍전이라(겁젼이라) 11 페이지 / 전적]

혼인 때에,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미리 보내는 푸른색과 붉은색의 비단. 치마나 저고릿감으로 씀.

채단(采緞)[죽엽가(쥭엽가) 11 페이지 / 전적]

혼인 때에,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미리 보내는 푸른색과 붉은색의 비단. 치마나 저고릿감으로 씀.

채란(採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78 페이지 / 전적]

「採蘭」―文選 束晳의 補亡詩 南陔「循彼南陔 言採其蘭」이라했고 註에『子夏序에 이르기를「南陔가 廢하므로 孝友가 缺했다」』라 했다。그래서 後人이 많이 引用하여 孝養에 비유함。李中의 시에 「蘭陔養不違」라는 句가 있음.

채란(茝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0 페이지 / 전적]

「茝蘭」―香草이므로 座中의 友朋에게 비하고, 蕭艾는 賤草이므로 자신에게 비한 것임.

채란(茝蘭)[경명가(敬命歌) 4 페이지 / 전적]

향기로운 난초.

채련화(採蓮花)[봉션화가 3 페이지 / 전적]

연꽃을 캠.

채무(彩舞)[냥신낙사가(냥신낙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반삼채무(斑衫彩舞). 색동 옷을 입고 춤을 춤.

채무(彩舞)[냥신낙사가(냥신낙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반삼채무(斑衫彩舞). 색동 옷을 입고 춤을 춤.

채미[팔역가(八域歌) 15 페이지 / 전적]

백이 숙제가 고사리를 캐먹다 굶어 죽음

채미(采薇)[한흥가라 34 페이지 / 전적]

고사리를 캐어 먹음.

채미(采薇)[한흥가라 34 페이지 / 전적]

고사리를 캐어 먹음.

채미(采薇)[한흥가라 34 페이지 / 전적]

고사리를 캐어 먹음.

채미(采薇)[화조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고사리를 캠.

채미가(採薇歌)[잣치가라(치라) 9 페이지 / 전적]

백이와 숙제가 은나라에 대한 충절을 지키려고 수양산에서 고사리를 캐어먹다가 굶어죽었다고 하는 데서 유래한 노래.

채미가採薇歌[ 1 페이지 / ]

백이와 숙제가 주 나라의녹을 먹지 않겠다며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먹으며 지었다는 노래.

채미곡(采薇曲)[조심가라 25 페이지 / 전적]

고사리 캐는 노래라는 뜻으로, 절의지사(節義之士)의 노래를 이르는 말. 『사기(史記)』 「백이숙제열전편(伯夷叔齊列傳篇)」에 전함.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꺾어 배를 채우다 굶주려 죽기 전에 이 노래를 지었다고 함.

채미곡(采薇曲)[조심가라 25 페이지 / 전적]

고사리 캐는 노래라는 뜻으로, 절의지사(節義之士)의 노래를 이르는 말. 『사기(史記)』 「백이숙제열전편(伯夷叔齊列傳篇)」에 전함.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꺾어 배를 채우다 굶주려 죽기 전에 이 노래를 지었다고 함.

채미정(採薇亭)[팔도안희가 11 페이지 / 전적]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정자로 고려 말기의 충신이며 대학자인 길재(吉再)의 충절과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1768년(영조 44)에 건립하였다. ‘채미(採薇)’는 고비를 캔다는 뜻으로 중국 주(周)의 곡식 먹기를 거부하고 수양산에 은거하여 고비를 캐먹으며 은나라에 대한 충절을 지켰던 백이, 숙제의 고사에서 이름이 유래한다.

채미정(採薇亭)[유회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은(殷)나라 때의 신하였던 백이숙제(伯夷叔齊)가 무왕(武王)이 주(周)나라를 세운 것에 대해 반대하여 수양산(首陽山)에 숨어살며 고사리만 캐어먹다 죽었다는 고사를 따서 채미정이라 이름지은 정자를 말함. 여기서는 경상북도 구미에 있는 정자로 명승제52호로 지정되어 있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