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충효발천(忠孝發闡)[청년남녀훈계가 7 페이지 / 전적]

충효가 열리어 드러남.

충효신행(忠孝信行)[일회심곡(一回心曲) 9 페이지 / 전적]

충성과 효도, 그리고 믿음스러운 행동.

충효쌍전(忠孝雙全)[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충성과 효도를 모두 갖춤.

충훈부(忠勳府)[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공신(功臣)의 훈공을 기록하는 일을 맡아 하던 관아. 처음에는 공신도감, 충훈사로 부르던 것을 세조 때에 이 이름으로 고쳤다.

췌기말(揣其末)[근농가(勤農歌) 5 페이지 / 전적]

그 끝을 헤아려봄.

췌기말(揣其末)[경세가(警世歌) 1 페이지 / 전적]

그 끝을 헤아려봄.

취경(取鏡)[도리산화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거울을 취함.

취경(取鏡)[도리산화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거울을 취함.

취고사리 고여[역대가라(역가라) 6 페이지 / 전적]

고사리를 캐고 캐어. 취고사리의 ‘취’는 취(取)한다는 뜻인데 필요 없는 말이다.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는 고죽군의 두 아들인데, 주무왕(周武王)이 상(商)을 정벌하려고 하자 신하의 도리가 아니라고 하며, 말꼬삐를 잡고 간하고, 주(周)나라가 천하를 통일하자, 주나라의 곡식을 먹지 않겠다고 하여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꺾어 먹으며 굶주려 죽었다.

취공(翠空)[개화별곡이라 14 페이지 / 전적]

푸른 하늘.

취과양주(醉過揚洲)[쳥츈상심곡(쳥츈심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취과양주귤만거(醉過揚洲橘滿車). 두목이 양주 거리를 술 취해 수레를 타고 가면 기생들이 애정으로 던진 귤이 수레에 가득하다는 말.

취과양주귤만거(醉過楊州橘滿車)[남여동락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두목지(杜牧之)는 풍채가 매우 잘 생긴 인물인데, 그가 술에 취하여 양주(楊州) 시내를 지나가니 기생(妓生)들이 그 풍채에 반하여 귤을 던져 수레에 가득 찼다는 고사(故事).

취과양주귤만거(醉過楊州橘滿車)[남여동락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두목지(杜牧之)는 풍채가 매우 잘 생긴 인물인데, 그가 술에 취하여 양주(楊州) 시내를 지나가니 기생(妓生)들이 그 풍채에 반하여 귤을 던져 수레에 가득 찼다는 고사(故事).

취귀천(醉歸天)[팔도안희가 9 페이지 / 전적]

취하여 하늘로 돌아가다. 곧 취하여 죽다.

취담(醉談)[청춘사연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술에 취하여 함부로 말함.

취당(聚黨)[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8 페이지 / 전적]

목적, 의견, 행동 따위를 같이 하는 무리를 불러 모음.

취당(聚黨)[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8 페이지 / 전적]

목적, 의견, 행동 따위를 같이 하는 무리를 불러 모음.

취대(取貸) 수호(水火)[ 1 페이지 / ]

돈을 꾸어 쓰기도 하고 꾸어주기도 하는 것. 극히 곤란한 환경을 이르는 말.

취대(取貸)[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9 페이지 / 전적]

돈을 꿔 쓰기도 하고 꿔 주기도 함.

취대(取貸)[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9 페이지 / 전적]

돈을 꿔 쓰기도 하고 꿔 주기도 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