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취코[팔도가 15 페이지 / 전적]

취하고.

취포(醉飽)[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6 페이지 / 전적]

취차포(醉且飽). 술을 취하도록 마시고 음식을 배부르도록 먹는 것.

취포(醉飽)[효행가(효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취하도록 술을 마시고 배부르도록 음식을 먹음.

취포(醉飽)[환행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취차포(醉且飽). 취하도록 술을 마시고 배부르도록 음식을 먹음.

취포(醉飽)[환행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취차포(醉且飽). 취하도록 술을 마시고 배부르도록 음식을 먹음.

취포(醉飽)[효행가(효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취하도록 술을 마시고 배부르도록 음식을 먹음.

취포(醉飽)[상방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취하도록 술을 마시고 배부르도록 음식을 먹음.

취품[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24 페이지 / 전적]

임금에게 여쭈어 그 의견을 기다리는 일.

취품(取稟)[사향곡(향곡) 11 페이지 / 전적]

웃어른께 여쭈어서 그 의견을 기다림.

취품(就稟)[수션의라 12 페이지 / 전적]

웃어른께 나아가 여쭘.

취품(就稟)[기수가 2 페이지 / 전적]

웃어른께 나아가 여쭘.

취하거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95 페이지 / 전적]

「醉眠」―蘇軾의 煙江曡暲圖詩에「長松落雪驚醉眠」의 句가 있음。

취한 몸을 황포로 누가 엎었는고[녁대가(녁가) 59 페이지 / 전적]

송태조(宋太祖) 조광윤(趙匡胤, 927~976)이 왕이 된 일화. 후주(後週)의 장군이었던 조광윤이 어느 날 술에 취해 잠이 들자, 군사들이 그에게 천자의 황포를 입혀 왕으로 추대했다고 함.

취한(取汗)[한흥가라 39 페이지 / 전적]

병을 다스리기 위해 몸에 땀을 내는 일.

취한(取汗)[한흥가라 39 페이지 / 전적]

병을 다스리기 위해 몸에 땀을 내는 일.

취한(取汗)[한흥가라 39 페이지 / 전적]

병을 다스리기 위해 몸에 땀을 내는 일.

취한(取汗)[한양가라 38 페이지 / 전적]

병을 다스리려고 몸에 땀을 내는 일.

취향(醉鄕)[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0 페이지 / 전적]

「醉鄕」―醉中의 境界를 말한 것임. 晋書王績傳에「績著醉鄕記以次劉伶酒德頌」이라 했고, 韓愈의 送王秀才序에「吾少時 讀醉鄕記 私恠隱居者 無所累於世 而猶累是言 豈誠旨於味耶」라하였음.

취향(醉鄕)[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51 페이지 / 전적]

「醉鄕」― 위의 醉鄕詩에 나타나 있음.唐書王績傳에 「績箸醉鄕記 以次劉伶酒德頌」이라했고, 韓愈 送五秀才序에 「吾少時 讀醉鄕記 私怪隱居者 無所累於世 而猶有是言」이라 했음

취향(醉鄕)[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5 페이지 / 전적]

「醉鄕」- 醉中의 境界를 말한 것임. 唐書 王績傳에「績이 醉鄕記를 지어 劉伶의 酒德頌에 次하였다」하였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