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취적(取適)[ 1 페이지 / ]
자기 뜻에 맞는 바른 즐거움
취적봉(翠積峰)[팔도안희가 10 페이지 / 전적]
가야산에 있는 봉우리 중 하나로 여기서 고운 최치원이 은거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취정(醉亭)[석촌별곡 4 페이지 / 전적]
구양수가 노닐던 중국 저산의 취옹정.
취졸될가[셕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췌졸될까. 췌졸(贅拙)될까. 쓸데없이 졸렬한 사람이 될까.
취주한잔[복션화음록 5 페이지 / 전적]
취주(醉酒)는 술. 술 한 잔.
취죽창송(翠竹蒼松)[초당춘수곡 5 페이지 / 전적]
푸른 대나무와 소나무.
취지무금(取之無禁)[봉별가 22 페이지 / 전적]
이것을 취해도 금하지 않고.
취지여일(就之如日)[팔도안희가 3 페이지 / 전적]
나아올 때는 해와 같이 빛나도다
취지여일(就之如日) 망지여운(望之如雲)[심심가(尋心歌) 50 페이지 / 전적]
그에게 나아가기를 해에 나아가듯 하고 그를 바라보기를 구름같이 하네.
취지여일(就之如日) 망지여운(望之如雲)[심심가(尋心歌) 50 페이지 / 전적]
그에게 나아가기를 해에 나아가듯 하고 그를 바라보기를 구름같이 하네.
취지여일(就之如日) 하는 중에 망지여운(望之如雲) 하겠구나[거창가라 6 페이지 / 전적]
사기' 권1 「오제본기(五帝本紀)」에 “제요란 분은 이름이 방훈이니, 그 인덕(仁德)은 하늘과 같았고, 그 지혜는 신과 같았으며, 가까이 나아가 보면 따스한 햇볕과 같았고, 멀리서 바라보면 촉촉이 비를 내려 주는 구름 같았다.(帝堯者放勳 其仁如天 其知如神 就之如日 望之如雲)”라는 말이 나온다고 함.
취처(取妻)[유덕가(幼德歌) 6 페이지 / 전적]
장가를 들어 아내를 얻음.
취처(取妻)[우애가(友愛歌) 2 페이지 / 전적]
장가를 들어 아내를 얻음.
취처(娶妻)[동상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장가를 들어 아내를 얻음.
취처(娶妻)[고분가 22 페이지 / 전적]
장가를 들어 아내를 얻음.
취처(娶妻)[고분가 22 페이지 / 전적]
장가를 들어 아내를 얻음.
취처(娶妻)[혼례가(婚禮歌) 3 페이지 / 전적]
장가를 들어 아내를 얻음.
취처(娶妻)[곽씨세덕가문니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아내를 얻음, 혹은 장가를 감.
취치말고[헌수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취하지 말고.
취코[팔도가 15 페이지 / 전적]
취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