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취부(取婦)[근혼가(謹婚歌) 4 페이지 / 전적]
아내를 맞이함.
취색(取色)[해몽가라(몽가라) 10 페이지 / 전적]
낡은 세간 따위를 닦고 손질하여 윤을 냄.
취색(翠色)이 의구(依舊)하다[개화별곡이라 6 페이지 / 전적]
취색은 남색과 파랑색의 중간 빛. 의구는 옛 모양과 다름이 없음.
취생(鯫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8 페이지 / 전적]
「鯫生」- 漢書 張良傳에「『沛公曰「鯫生說我距闕 無納諸侯」』라하였다. 服虔의 註에「鯫는 小人이다」하였음. 新方言釋言에依하면「古人이 무릇 短小를 말할 적에는 義가 愚陋를 겸한다 漢高祖가 사람을 꾸짖을 때는 一曰 鯫生, 二曰 竪儒, 三曰腐儒인데 다 뜻이 한가지이다」라 했다. 後世에 自稱하는 謙詞 로 써왔음.」
취서(就緖)[종매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일이 조금씩 잘 되어감.
취성(醉醒)[화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술에 취하는 일과 술에서 깨는 일.
취성(醉醒)[화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술에 취하는 일과 술에서 깨는 일.
취소(取笑)[애부가(부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의 웃음거리가 됨.
취소(取笑)[애부가(부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의 웃음거리가 됨.
취수(翠袖)[사미인곡 8 페이지 / 전적]
푸른 소매.
취수(聚首)[리행소챙가 23 페이지 / 전적]
머리를 맞대듯이 가까이 모여 앉음.
취식객(取食客)[형졔분슈가 3 페이지 / 전적]
남의 음식을 염치없이 먹는 사람.
취양(醉鄕)[송강집(松江集二)2 93 페이지 / 전적]
술취한 속에 숨는 것도 일종(一種)의 경계(境界)가 있음을 이름. 왕적(王績) 의 취향기(醉鄕記)가 있음.
취옹정(醉翁亭)[유회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송(宋)나라 때의 정자로 구양수(歐陽脩)를 위해 승려 지처(智遷)이 세웠다고 함.
취옹정부(醉翁亭賦)[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9 페이지 / 전적]
사환(賜環)12)울 기다려도
취우(吹竽)[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5 페이지 / 전적]
「吹竽」―能力의 不充足을 말함. 韓非子에「齊宣王 使人吹竽必三百人 南郭處士 請爲王吹竽 宣王說之 廪食以數百人 宣王死湣王立 好一一聽之處士逃」라 하였음.
취우(贄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92 페이지 / 전적]
「贅疣」- 살에 달린 혹을 이름인데, 事物의 無用에 비유하여, 쓰는 말임. 莊子에 「彼以生 爲附贅懸疣」라 하였음.
취우(驟雨)[환행가 35 페이지 / 두루마리]
소나기.
취우(驟雨)[환행가 35 페이지 / 두루마리]
소나기.
취재(炊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69 페이지 / 전적]
「吹虀」―懲羮吹虀의 略稱으로 너무 지나친 戒懼에 대한 비유임. 楚辭九章惜誦에「懲於羮而吹虀兮」라는 句가 있는데 여기는 炊虀의 誤임. 韓愈 進學解에「太學三年 朝虀暮盬」의 句가 있음.